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내


尹정부 '전기차 화재 예방' R&D 예산도 30% 깎았다

산업부, 세라믹 분리막 기술 중요성 커지는데 ‘이차전지 안전성 R&D’ 예산 삭감
검증횟수 축소·인건비 후려치기 이어져... 장철민 “국민 안전 경각에 몰아 넣어”

 

지난 8월 청라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이차전지의 열폭주 위험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한국세라믹기술원(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의 전기차 배터리 등 이차전지 화재 안전성 관련‘24년 R&D 예산’을 약 30%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 안전성 R&D 과제는 전기차 화재 발생률을 대폭 낮추거나, 화재 발생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이다. 전기차 화재는 주로 배터리 충전 또는 사용 시 온도상승으로 양극재와 음극재를 분리하는 분리막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여기에 전류가 흐르도록 돕는 액체 전해질이 발화성이 높아 불이 붙으면 진압이 어려워 화재 피해를 키운다.

 

정부는 2021년~2022년에 걸쳐 전기차 등 이차전지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6개 R&D 과제 중 2개 과제에 참여해 이차전지의 분리막을 세라믹 코팅을 통해 손상 위험을 낮추는 기술과 불이 붙지 않는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 이차전지 화재 안전성 관련한 R&D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세라믹기술원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2024년 R&D예산을 전년 대비 2조8,000억원 삭감하면서,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참여한 이차전지 화재 위험성을 대폭 낮추는 세라믹 코팅 분리막과 고체전해질 제조 R&D 예산을 협약금액 대비 각각 29.9%(-5억6300만원), 24.7%(-7억1,200만원)를 줄였다. 이외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이 진행하는 이차전지 화재 안전성 관련 3개 R&D에서도 협약금액 대비 29.9%(-7억5900만원)삭감했다.

 

예산삭감은 연구개발 신뢰성 저하와 연구원 인건비 후려치기로 이어졌다. 분리막 제조 기술의 경우 개발 샘플량을 20% 축소하고, 시험분석 검증 횟수도 40% 축소해 진행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 제조기술 R&D에서는 연구장비 도입 계획을 취소하고 노후화 장비를 사용해 연구를 진행하고, 시제품의 완성도를 검증하는 분석검사(고도분석X-ray CT)를 취소했다. 두 R&D 모두에서 참여 연구원들의 인건비 및 수당을 11~26% 삭감했다.

 

장철민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은 충동적으로 R&D 카르텔을 잡겠다면서 국민 안전을 경각으로 몰아넣고 있다”며“이차전지 화재 안전성 관련 기술은 산업경쟁력과 국민 안전 모두 연관된 중요 과제”라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