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이슈


‘제2 명태균’ 꿈꾸는 응답률 4% 여론조사업체와 뒷배

민주 "여론조사 통해 여론 호도"... 한국여론평판연구소 고발 검토
언론노조 "한국여론평판연구소, 보수 유튜버 고성국TV가 주고객"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가 진행되는 와중에 일부 보수 언론의 의뢰로 진행된 '윤석열 지지율' 여론조사가 낮은 응답률과 '편향된 질문' 조사방법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6일 국회 탄핵소추안 통과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를 돌파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편향적"이라며 조사 업체 고발을 검토하기로 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근 여론조사를 통해서 여론을 호도하는 시도들이 많이 있다"며 "당 법률위원회가 한국여론평판연구소의 편향적 여론조사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 것이라는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 3~4일 한국여론평판연구소가 아시아투데이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을 매우 지지한다'고 답한 응답률이 31%, '지지하는 편'이라고 답한 응답률이 9%로 나타났다. 반면 '전혀 지지하지 않는다'(56%)거나, '지지하지 않는 편'(4%)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60%로 집계됐다.

 

해당 설문을 보면, 1번 문항에서 윤 대통령 지지 여부를, 2번에서 정당 지지성향을 묻는다. 3번에선 ‘윤 대통령 체포영장에 대한 불법 논란에도 불구하고 공수처가 현직 대통령을 강제 연행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문항이 이어진다. 또 '선관위 선거 시스템에 대한 공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도 있다. 특정 성향의 응답자가 과다 표집될 것을 우려해 피하는 질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수석대변인은 "문항 설계 등이 특정 대답을 유도하는 식으로 진행됐다는 판단"이라며 "질문부터 전개 과정을 보면 어떤 특정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지율의) 높고 낮음의 문제가 아니고 문항 설계 과정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여론조사의 정치화' 객관성 의심...언론 역할의 중요성

 

전국언론노동조합, 방송기자연합회 등 8개 언론현업단체 또한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혐의 관련 객관성을 잃은 편파적 언론보도 실태를 비판했다.

 

그 비판의 중심내용에는 일부 보수 매체를 중심으로 보도되고 있는 '윤석열 지지율 40% 돌파' 여론조사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해당 여론기관업체는 앞서 언급한 한국여론평판연구소와 함께 파이낸스투데이·더퍼블릭 의뢰로 여론조사업체 '여론조사공정(주)'도 포함됐다. 

 

더퍼블릭‧파이낸스투데이 공동 의뢰로 진행된 '공정' 여론조사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가 34.3%(매우 지지한다 23.3%+지지하는 편이다 11%)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64.4%(매우 지지하지 않는다 57.1%, 지지하지 않는 편이다 7.2%)로 집계됐다. 이들은 이례적으로 윤 대통령 지지율이 높게 집계된 이 조사의 응답률 역시 4%대에 그쳤다. 응답률 5%도 안되는 여론조사를 일부 보수, 경제 매체 중심으로 앞다퉈 인용 보도됐다.

 

이은용 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장은 "한국여론평판연구소는 주로 보수 유튜브 채널인 고성국TV로부터 여론조사를 맡아 온 곳"이라며 "한국여론평판연구소 지지율 조사를 두고 '짧은 시간 대규모 대상'에게 적합하지 않은 방법인 '랜덤 디지털 다이얼링 추출'과 'ARS 질의응답'을 써 신뢰도가 매우 낮다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한국여론평판연구소의 조사 문항 자체도 편향돼있다. 이런 문제를 조금만 검증했다면 쉽게 인용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통상 여론조사 응답률이 대략 낮아도 12%~13%인 것에 반해 지지율이 40%가 넘었다고 발표된 조사결과에는 응답률이 4.7%이고 여론조사 '공정'의 응답률도 4%대를 맴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4%대 낮은 응답률은 응답했다가 의도가 있다고 느껴 전화를 끊어버리거나 답변을 완료하지 않은 분들이 많다는 증거다. 특정 정치 성향을 지닌 사람들에 의한 여론 왜곡 가능성이 의심되는 부분이"며 "그런 결과가 반영된 여론조사 결과를 의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여론조사가 정치화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김미애 "외국인 무분별한 부동산 투기 차단...역차별 해소" 대표발의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은 외국인의 무분별한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국민에 대한 역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17일 대표 발의했다. 우선, 이번 개정안은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에 대해 ‘상호주의 원칙’을 의무 적용하도록 했다. 현행법은 상호주의 적용 여부가 실질적으로 제도화되어 있지 않아 사실상 사문화된 상태다. 개정안은 대한민국 국민의 부동산 취득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외국의 경우, 동일하게 우리나라 내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을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 상대국의 허용 범위 내에서만 거래를 허용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외국인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토지를 취득하려 할 경우, 사전에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 내국인은 대출 규제 등 다양한 제약을 받지만 외국인은 비교적 손쉽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어 형평성 문제가 지속 제기되어 왔다. 김미애 의원은 “대한민국 국민은 대출규제와 허가제도에 따라 부동산 거래가 제한되는 반면, 외국인은 상대적으로 거래 자유를 마음껏 누리고 있다”며 “이 법안은 자국민 역차별을 바로잡고, 국민의 주거 안정을 지키기 위한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