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한국 GDP 대비 전력 소비량, OECD 최고

전력 다소비 가구 10년간 두 배 이상 증가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20일 내놓은 ''전력 수급관리의 전략적 마인드가 필요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GDP 대비 전력 소비량은 한국이 0.44kWh/$로, OECD 평균인 0.25kWh/$를 크게 웃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 0.20, 독일 0.18, 영국 0.14, 미국 0.29, 일본 0.22 등이다.

연구진은 "한국의 전력 소비량은 경제발전 및 생활수준 향상을 감안해도 과도한 수준으로 증가해 전력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용도별로는 일반용(도·소매, 음식·숙박업, 일반사무, 공공·행정 업무용), 기타용(심야전력, 교육용, 농사용, 가로등 등)의 전력 소비량이 빠르게 증가했다.

일반용 전력은 2000년 48TWh에서 2012년 102TWh로 2.1배, 기타 용도의 전력은 같은 기간 16TWh에서 41TWh로 2.5배 늘어났다.

월평균 전력 사용량이 351kWh 이상인 ''전력 다소비 가구'' 비중은 2000년 13.4%에서 2011년 29.5%로 두 배 이상 많아졌다. 같은 기간 전력 사용량이 250kWh 이하인 가구는 62.8%에서 47.5%로 줄어들었다.

올여름 전력 수요는 공급능력을 뛰어넘어 예비전력이 -198만kW까지 떨어지는 초유의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발전설비 확충 속도는 전력 수요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연간 최대전력 사용량은 2000년 4천101만kW에서 2013년 7천652만kW로 1.87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설비용량은 1.72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국은 전력 생산의 91.9%를 원자력, 석탄, 복합화력 등 3대 전원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1.3%로, 독일 17.7%, 프랑스 14.2%, 미국·일본 각각 10.4%, 영국 7.2%에 비해 한참 떨어진다.

보고서는 "국가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향을 ''수요관리 강화'', ''에너지 효율 향상'', ''공급체계 개선'' 등 3가지로 잡고 실효성 있게 추진해나가 현재의 전력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현아 기자 / sha72@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