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인명 피해 우려 지역은 올해 2768곳으로 181곳 확대

소방방재청,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실무 부처는 자연 재난 예방과 점검 활동에 집중한다.

소방방재청은 태풍·호우 예상 시 상황 회의를 수시 개최하기로 했다. 또한 재난 예·경보 시설을 작년 1389개에서 1979개로 늘렸다. 또한 산사태·홍수 등 인명 피해 우려 지역을 작년 2587곳에서 올해 2768곳으로 181곳 확대했고 4368명을 우려 지역 전담 관리자로 지정했다.

전담 관리자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이장, 통장 등 지역 주민을 지정해 직접 관리하도록 했다. 집중호우·태풍의 상습 피해 지역인 반지하 주택가에도 침수 방지 시설을 94% 이상 설치했다.

소방방재청은 수도권 지역 반지하 주택 5만2216가구 중 4만9068가구에 방수판, 자동 펌프 등 침수 방지 시설을 설치했고 나머지 3148가구에는 모래주머니와 양수기를 현장에 비치해 긴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작년에 이미 수해를 입고 복구하던 1만396곳 중 1만343건은 지난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해 재발하지 않도록 했다. 재난 발생 후 상황에도 철저히 대비한다. 소방방재청은 작년 대비 방재 물자는 120%, 재해 구호물자는 200% 이상 확보해 국가적인 재난에 대비한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6월 전국의 교량·터널·댐·저수지 등 여름철 풍수해 우려 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을 완료했다. 긴급 조치가 필요한 20곳에 대해서는 지난 1일 38억 5천만 원을 긴급 지원해 빠른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또한 전국 3만9789개소 무더위 쉼터와 재난 도우미 운영 실태에 대해서도 현장 점검을 실시해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했다.

지난 2일부터는 화재 위험이 높은 중요 문화재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 여름철 과열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

농어촌 및 국립공원 등 매년 여름철 재난 피해를 보는 곳에 대한 예방·점검 활동도 강화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월부터 전국 저수지·방조제 등 수해 우려 지역 7만1천여 곳에 대해 일제 점검을 하고 취약 시설 174곳에 대해 보수·보강을 마무리했다.

또 지난 6월 5일부터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해왔다. 상황실은 평시에는 오후 9시까지 운영하고, 기상특보 발령 때에는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한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도 국립공원·댐·항만 등에서 일어나는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 관리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재난 예·경보 시설 일제 점검을 실시했다.

송현아 기자
sha72@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