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 의사가 없다고 거듭 강조하며, 일본을 포함한 국가들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내비쳤다.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 방문 후 워싱턴DC로 복귀하는 전용기에서 취재진과 만나,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한 질문에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하며 “여러 나라에 간단한 서한을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본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타결 가능성에 회의적”이라며 “일본은 수십 년간 우리에게서 너무 많은 것을 취했고, 이제는 협상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의 쌀 시장에 대한 폐쇄적 태도와 자동차 수입 편중 문제를 예로 들며 “그들은 미국 차는 거의 들이지 않으면서 수백만 대를 미국에 수출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일본과의 무역에서 심각한 적자를 보고 있으며, 그 결과로 30~35% 혹은 우리가 정한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일본에 적용하려 했던 24% 상호관세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아예 무역 자체를 중단할 가능성도 열어두며, “대부분의 나라에는 간단한 서한을 보내 관세율을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서한은 한 페이지 안팎 분량으로 작성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일본 언론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일본 공영방송인 NHK는 "트럼프 대통령의 30~35%의 관세율 발언은 그만큼 일본과의 협상 내용에 강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에 대해 자동차와 쌀을 꼽은 NHK는 그 중에서도 자동차는 트럼프 대통령이 1980년대부터 일본의 자동차 산업을 문제시하는 발언을 지속적으로 해온 것을 주시하며 그 불만은 매우 뿌리깊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본과의 합의는 어렵다는 인식도 내비쳤다. 발언대로 관세가 인상될 경우 일본 경제에 막대한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하며 미일 협상은 극도로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9일,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EU)에 대해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표했다가 하루도 안 된 시점에 90일 유예를 결정한 바 있다. 이 유예 조치는 7월 8일 종료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 종료 전까지 각국과 비관세 장벽, 무역 불균형 해소 등을 둘러싼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진전이 더딘 국가들에는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