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산업


무협 "AI 확산에 '초거대·소형 데이터센터' 급성장, 韓 기업엔 기회"

무협 보고서…2020년 이후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 연평균 170% 폭증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의 상용화가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효율·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국가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4일 발표한 ‘AI가 촉발한 데이터센터 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03∼2021년 글로벌 주요 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는 연평균 21.1% 증가했으며, 생성형 AI가 본격 확산된 2022년부터는 연평균 투자 증가율이 169.4%에 달했다.

 

세계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는 2023년 3,728억 달러에서 2029년 6,241억 달러로 67%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성장성에 대응해 미국은 데이터센터를 국가 안보 핵심 시설로 규정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에너지원 도입을 추진 중이다. 일본도 경제산업성이 입지, 전력, 기술 실증 절차를 통합 관리하는 패스트트랙 제도를 시행 중이다.

 

베트남과 중국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데이터센터 전면 소유를 허용하는 등 규제 완화 정책으로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OCI 데이터베이스 기준 데이터센터 개수에서 세계 22위, 최근 5년 투자 규모에서 29위(4억 달러)에 머물러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수도권 중심의 데이터센터 집중으로 전력 공급 부담이 커지고, 에너지 효율성 및 국산 장비 사용률이 낮으며 세제·입지 등 제도적 지원이 부족한 점을 약점으로 지적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 반도체, 전력 인프라, 첨단 냉각 시스템 등 국내 기업의 강점을 살린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친환경 대규모 연산에 특화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와, 저전력 AI칩(NPU) 기반의 소형 엣지 데이터센터를 유망한 틈새시장으로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