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최휘영 문체부장관 후보자 “게임은 질병 아닌 문화 비전”

문화체육관광위 인사청문회서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반대 목소리
與 의원 질의에 답변...“20세기 문화가 영화였다면, 21세기는 게임”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가운데 질문 받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국내 도입 여부와 관련해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최 후보자는 2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게임이용장애’를 질병으로 규정하고 국제질병표준분류(ICD)에 반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무조정실 주도로 민관협의체를 꾸리고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체계(KCD)에 게임이용장애를 실을지 여부를 논의해 왔다.


민형배 의원은 “게임산업은 콘텐츠 수출액의 60% 남짓을 차지한 우리나라에 굉장히 중요한 산업”이라며 “게임을 질병으로 규정할 경우 우리가 생각하는 국가 문화비전과 충돌한다”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최 후보자는 ‘그렇다’고 동의하며 “게임은 문화예술로, 질병이 아니”라며 “20세기에 문화적인 측면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이 바로 영화의 출연인데, 21세기는 게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게임은 종합예술의 한 분야이고, 문화예술의 한 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질병으로 생각하면서 접근해야 할 문제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머나먼 언론개혁..."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독립의 최소장치"
각계 각층에서 언론개혁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이정헌 의원이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에 대한 조속한 추가 입법에 나서기로 했다. 두 의원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 2세미나실에서 '방송 3 법 그 이후 : 보도 독립·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방송 3법 개정으로 공영방송의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가 법제화됐지만, 민영 · 지역방송은 적용 대상에서 빠지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분과장을 비롯한 정책 전문가, 현업 언론인, 시민사회, 학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공영방송에 국한된 임명동의제의 한계를 짚고, 민영·지역방송으로의 확대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훈기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7일 국회 과방위를 통과한 방송 3법 개정안은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위한 진일보했지만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적용 대상은 KBS, MBC, EBS, YTN, 연합뉴스 TV, 5개 방송사로 한정됐다”며, “종편사의 뉴스 시청률이 이제는 국민들에게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상당한 만큼 공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