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우리동네 예체능'' 태릉의 땀과 도전의 24시간

"땀을 흘린 만큼 실력이 발휘되는 스포츠보다 정직한 종목은 없다!" 지난 27일 방송된 KBS 2TV ''우리동네 예체능''(이하 ''예체능'') 21회에서는 예체능팀이 태릉선수촌의 24시간을 체험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그들은 태릉선수촌 입촌 후 새벽 운동을 시작으로 ''태릉의 지옥실'' 월계관에서 레슬링 국가대표 선수들과 동일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받는 등 강도 높은 훈련을 거듭했다.

 이어, 배드민턴 국가대표 김학균 코치와 선수들에게 배드민턴 1승을 위한 비장의 필살기부터 세심한 자세까지 지도 받게 된 예체능팀. 레벨 테스트에 이어 선수들과 2:2 짝을 이뤄 팀별 훈련을 마친 예체능팀은 김학균 코치에게 ''모래판 특훈''까지 사사 받으며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그런가 하면 MSG 없는 웃음으로 브라운관에 건강한 웃음을 채웠다. 이지훈을 시작으로 찬성, 필독까지 연신 거울을 들여다보며 "사람 얼굴이 아닌 거 같은데.. 저 안쓰러워 보이지 않아요?", "내 볼이 이렇게 없었나?", "시청자 여러분 죄송합니다. 제가 생얼이에요. 메이크업을 하고 왔는데 다 지워졌어요" 등 걱정 어린 푸념을 늘어놓은 것도 잠시, 최고급 태릉 구내식당에 도착하자 눈을 반짝이며 먹방의 면모를 과시하기도 했다.

예체능팀이 탁구에 이어 볼링, 배드민턴까지 매 경기를 치러나가며 진정한 ''팀''으로 변모해 가는 모습에 시청자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방송 후 네티즌들은 각종 SNS 등을 통해 "화요일이면 가족들이 다 모여서 꼭 시청합니다. 그리고 국가대표가 이렇게 힘든 줄 몰랐어요. 감동 또 감동입니다. 화이팅!", "갈수록 기대되는 프로! 예체능! 열심히 노력하는 진정성 있는 모습 너무 좋아요", "항상 보고 있습니다. 요새 최고네요! 전국의 체육인들이여, 불타오르라!" 등 다양한 반응을 전했다.

한편, 태릉선수촌에서 국가대표팀들과 강도 높은 훈련을 받은 예체능팀은 뜨거운 훈련 열기를 전하며 시청률 8.3%(닐슨 코리아, 전국)를 기록, 동시간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우리동네 예체능''은 다음주 ''전라남도 화순''과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승부를 벌일 예정이다.

 박희상 기자/ phs@mbceconomy.com

사진 제공- KBS 2TV ''우리동네 예체능'' 캡처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