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국제


'사마륨 60배 폭등'... 中 희토류 규제에 美 '무기 생산' 비상

中, 희토류 생산 세계 90% 차지...전략분야 통제 유지 중
WSJ "미국 방위 산업의 중국 희토류 의존, 큰 위협 요소"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가 미국 방산업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이 자국 안보와 전략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방산용 핵심 광물의 수출을 통제하면서, 일부 원소의 가격이 수십 배로 치솟고, 생산 지연 사태도 확산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미국의 주요 방산업체들이 드론에서 전투기까지 필수적인 부품에 들어가는 광물을 구하기 위해 세계 각지를 수소문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도 성능이 유지되는 전투기 엔진용 사마륨 자석은 기존보다 60배에 달하는 가격 제안까지 등장했다.

 

희토류는 주로 중국에서 생산되며, 세계 공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한다. 미중 간 통상 마찰이 격화되면서 중국은 지난 6월 일부 수출을 재개했지만, 방위·항공우주 등 전략 분야에 대한 통제는 여전히 유지 중이다.

 

이로 인해 미국의 드론 부품 제조업체들은 대체 공급처를 찾는 과정에서 납품 일정이 수 주 이상 지연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발 수출 제한 이후 일부 원재료가 이전보다 5~10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WSJ는 미국 국방산업이 중국 희토류 의존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 위협 요소라고 지적했다. 국방 IT업체 고비니의 조사에 따르면, 미군 무기체계에 들어가는 부품 중 8만여 개 이상이 중국산 핵심 광물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미사일 유도, 야간 투시 장치, 위성 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일부 방산기업은 장기적으로 대체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으나, 단기간 내 완전 대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특정 광물은 생산 원가가 지나치게 높아 서방 국가 내 자체 조달이 경제적으로 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방산기업들은 더 이상 중간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원자재 확보에 직접 뛰어들고 있다. 희토류 정련 기술을 보유한 미국 스타트업 피닉스 테일링스의 니컬러스 마이어스 대표는 “이제는 자석 확보조차 직접 나서야 하는 상황”이라며 WSJ에 방산업체들의 위기 인식을 전했다.

 

미 국방부는 지난달 미국 내 희토류 생산 확대를 위해 'MP 머티리얼즈' 지분 15%를 4억 달러에 매입하는 등 자원 안보 확보에 나섰지만, 새로운 공급망이 안정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한편, 중국은 작년 말부터 게르마늄, 갈륨, 안티몬 등 전략 광물의 대미 수출을 금지해왔다. 최근에는 수입업체에 자재의 최종 용도, 생산 방식, 고객 정보 제출까지 요구하며 통제 수준을 한층 높였다. 일부 미국 방산업체는 중국 세관의 제재로 인해 안티몬 운송이 수개월 지연되기도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