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8일 목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美 고급단지 '웨스트체스터 타운십' 한 달에 두 번 해킹 당해

공보국장, 이달 26일 해킹 경고 받았다고 폭스19나우에 밝혀
앞서 이달 12일 첫 공격 받은 이후에 2주만에 추가 공격 진행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고급 주민자치단지인 ‘웨스트체스터 타운십(West Chester Township)’에서 최근 한 달 새 두 번의 해킹 공격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FOX 계열의 지역방송국 폭스19나우(Fox19Now)는 웨스트체스터 타운십이 이달 26일 6시 45분 무렵 중앙 이메일 서버를 표적으로 삼은 사이버 보안 침해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웨스트체스터 타운십은 오하이오주 버틀러 카운티, 신시내티 북쪽에 위치한 인구 밀도가 높고 성장하는 주거 및 상업 지역이다. 이곳 주민들은 조용한 교외 생활과 쇼핑, 식사,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도시 편의시설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자치’ 타운십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수십 년간 상당한 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50여년 역사를 가진 머니 매거진(Money Magazine)과 같은 미국 출판사들은 이곳을 미국 최고의 거주지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브리아나 우튼(Brianna Wooten) 웨스트체스터 공보국장은 폭스19나우와의 인터뷰에서 “해커들이 우리 타운십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공개할 것처럼 취급하고 있다”며 “최대한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 타운십은 중요 시스템을 즉시 폐쇄하고 사건을 격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며 “아직까지 데이터가 도난당했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고 따라서 그들 해킹그룹의 주장도 확인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우튼 공보국장은 이어 해커들이 어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FBI 인터넷 범죄 신고 센터, 법률 고문,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과 함께 포렌식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공격한 해킹그룹은 앞서 이달 12일에 첫 번째 사이버 공격을 한 데 이어 단 2주만에 두 번째 공격을 받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첫 공격을 받은 이후 타운십 측은 즉각적인 보안 조치를 취해 큰 피해는 없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데이브 해터(Dave Hatter) IT 컨설턴트는 “해킹그룹은 소규모 지방정부 등 공격으로부터의 사이버 보안 조치가 미흡한 단체를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방정부 대부분이 예산 부족으로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없다”며 “하지만 그곳에서도 유지하고 관리해야 할 레거시 시스템은 분명 존재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전자장치 부착, 접금금지 동시에"...전현희 ‘스토킹범죄 방지법’ 발의
최근 스토킹범죄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범죄 예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스토킹범죄 재발을 방지하고 피해자 보호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최고위원(서울 중성동갑)은 이 같은 취지의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스토킹처벌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8일 밝혔다. 법무부가 전현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0월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후 접수된 스토킹범죄 사건은 ▲2021년(10월) 408건 ▲2022년 7,626건 ▲2023년 1만 438건 ▲2024년 1만 3,269건 ▲ 2025년(7월) 7,981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반복성과 집착성이 강한 스토킹범죄 특성상 재범 위험이 높아, 만기 출소자에 대한 사후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현행법은 집행유예의 경우에만 보호관찰 또는 사회봉사 중 하나 이상 처분을 병과하도록 한정하고 있어, 만기출소자의 재범 방지에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실효적인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해선 스토킹행위자에 대해 전자장치 부착과 접금금지 조치가 동시에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전 최고위원은 스토킹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