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24일 열린 내년도 본예산안 심의에서 축산동물복지국을 상대로 “축산환경 개선과 미래세대 교육 등 핵심 사업이 전액 또는 대폭 삭감됐다”며 강력히 비판하고 예산 증액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먼저 올해 1천144명이 참여한 ‘축산농가 환경개선 교육’ 사업이 내년 예산안에서 전액 미반영된 점을 지적했다. 그는 “농가 인식 개선과 주민 공감대 형성, 학생 견학까지 포함된 우수 프로그램임에도 0원 편성은 매우 유감”이라며 “도지사 역시 교육 확대 필요성에 공감한 만큼 사업 부활과 예산 재반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축순환농업의 핵심 기반으로 평가받는 피트모스 기반 축분퇴비 생산 지원책이 축소된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공동퇴비사는 단순 보관창고가 아니라 악취 없는 고품질 퇴비 생산과 순환농업 완성에 필수적인 인프라”라며 사업 미반영에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축산진흥센터의 ‘축산기술실증시험’ 1억원 전액 삭감, ‘우량우 매입’ 3억7천만원 삭감 등 핵심 지원 예산 총 4억7천만원이 감액된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 의원은 “피트모스 기반 축산환경 기술은 2025년 실증 결과가 매우 긍정적이었다”며 “지금은 농가 보급 단계로 넘어갈 시기인데 실증–검증–보급의 선순환 체계를 스스로 끊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2026년 축산악취저감 시설지원 예산이 전년 대비 8억원 이상 줄어든 부분 역시 도민 생활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악취저감과 부숙 촉진에 필수적인 스크류교반기의 경우 시군에서 7대를 요청했지만 4대만 반영된 점을 지적하며 “나머지 3개소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추가 예산 반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오수 의원은 “축산환경 개선은 단순한 장비 지원이 아니라 도민의 생활환경과 직결된 문제”라며 “현장 수요에 맞춘 충분한 예산 확보를 통해 지속가능한 축산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도가 책임 있는 예산 편성으로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