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포토뉴스


낱알 포장된 의약품 복용 시 포장재 삼킴사고 주의해야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PTP’ 포장 의약품을 복용하면서 포장재를 함께 삼킨 위해 사례가 최근 3년간 총 70건으로 매년 평균 20여 건이 접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TP란‘Press Through Package’의 약자로 플라스틱 시트를 열 성형해 공간을 만들고 정제, 캡슐 형태의 의약품을 넣어 알루미늄박으로 가열 밀봉한 포장이다.

 

연도별 위해사례를 보면 2011년 19건 → 2012년 29건 → 2013년 22건이었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9세 이하’(7건, 10.0%) 어린이와 ‘50대 이상’(50건, 71.4%) 고령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     

  
한국소비자원은 ‘9세 이하’의 어린이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주의력이 낮고, ‘50대 이상’ 고령층은 성인병 질환으로 의약품 복용 횟수뿐 만 아니라 1회 복용량이 많다보니 미처 포장재를 확인하지 못해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포장재 삼킴 사고로 인한 위해 정도를 살펴보니 70건 모두 병원치료를 받을 정도의 심각한 상해였으며‘인후부 손상’이 29건(41.4%)으로 가장 많았다. 또‘식도 손상’ 26건(37.2%), ‘소화관(위 또는 장) 손상’이 15건(21.4%)이었다.

 

의약품의 낱알 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PTP 포장재를 삼키게 되면 플라스틱의 날카로운 모서리나 알루미늄박으로 인해 1차적으로 인후부ㆍ식도ㆍ소화관에 손상을 입게 되며 심각한 경우 조직 천공으로 이어져 복막염ㆍ패혈증 등의 중증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병원이나 약국에서 복약지도를 통해 소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알루미늄박이 약과 같이 떨어지지 않도록 두께를 강화하거나 종이 재질로 교체하는 등 PTP 포장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는 이미 위험성을 인지하고 포장을 개선하거나 복약지도를 강화하고 있다며 삼킴 사고의 근본적 예방을 위해 관련부처에 ▴어린이와 고령자에 대한 복약지도 강화 ▴포장 절취선 개선ㆍ알루미늄 두께 강화ㆍ종이 등 신소재로 재질 변경 등 포장 개선방안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낱알 포장된 약을 개봉할 때 포장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복용할 것을 당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