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지난 해 식중독 피해 등 크게 늘어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위해사례 분석

지난 해 식료품이 부패했거나 식중독 등이 발생한 사례가 크게 늘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위해사례가 매년 증가해 201154,724, 201261,498, 2013년에는 65,405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은 소비자위해정보의 수집 및 처리를 위해 구축됐으며 병원, 소방서, 소비자상담, 소비자신고, 언론 및 해외정보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축적된 정보를 분석·평가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지난해 1년간 이 시스템에 접수된 위해사례 65,405건을 분석한 결과, 품목으로는 식료품 및 기호품’(12,016, 18.4%), 위해발생 장소로는 가정’(37,231, 56.9%), 연령별로는 ‘10세 미만’(21,971, 33.6%)에서 가장 많은 위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다발 품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식료품 및 기호품’(12,016, 18.4%)에서 이물, 부패, 변질, 식중독 등이 발생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계단이나 유리와 같은 구조물, 건축물, 및 제조용 자재’(1655, 16.3%), ‘차량 및 승용물’(7,680, 11.7%), ‘가구 및 가구 설비’(7,531, 11.5%) 등에서 위해 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식료품 및 기호품은 전년 대비 19.6%(1,966), ‘차량 및 승용물은 전년 대비 20.3%(1,294)나 증가했다.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가정’(37,231, 56.9%)으로 침실·(11.8%), 거실(9.6%), 주방(9.1%), 화장실 및 욕실(4.2%) 등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의 위해사례가 21,971(33.6%)으로 가장 많았고, ‘30’ (7,909, 12.1%), ‘40’(6,691, 10.2%), ‘50’(5,774, 8.8%), ‘20’(5,299, 8.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재사례는 총 2,836건이 접수됐는데 자동차(1,034, 36.5%)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았고, 전기장판(192, 6.8%), 선풍기(106, 3.7%), 세탁기(101, 3.6%)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지난해 위해시스템에 수집된 위해사례에 대한 신속한 조사를 통해 265건의 사업자 시정을 권고했고, 33건의 리콜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또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물질, 변질 등의 식품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하고 가정 내에서 어린이들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한국소비자원 핫라인(080-900-3500)’이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홈페이지(www.ciss.or.kr)를 통해 해당 위해정보를 신고하도록 부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쿠팡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 시행 홍보했지만 ‘주7일 야간배송’ 강요
쿠팡이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을 시행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주6일, 주7일 강제노동이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쿠팡 대리점들이 회사 아이디를 이용해 심야노동시간 및 노동자 휴일이 없는 사실을 은폐하고 주7일 야간 배송까지 종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쿠팡 대리점 올리브로지스틱스에서 일하던 A씨는 지난 7월 27일부터 엿새간 야간배송을 마친 뒤(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는 본인 아이디, 8월 1일은 회사 아이디로 근무), 하루 쉬는 날이던 8월 2일, 회사로부터 다시 근무 지시를 받았다. 배송 업무 어플 접속 아이디를 다르게 해 시스템상 주5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한 것처럼 만들어 마치 택배기사가 하루를 더 쉬려고 한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A씨가 이를 거부하자 회사는 '대체 인력 투입 비용'이라며 용차비 70만 원을 청구했다. 만약 A씨가 그날 지시에 따랐다면, 해당 주간에 7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 다음 주 휴무일(토요일)까지 총 13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셈이었다. 특히, 5일은 노동자 본인 아이디로 배송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하루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