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오전10시께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작된 20대 국회 첫 대정부 질문에서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에 이어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은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 파기와 낙하산 인사 문제를 지적하면서 언성을 높였다.
이에 여당 의원들은 김 의원의 질문 태도에 대해 지적했고, 김 의원은 “질의하고 있는데 간섭 말라”라고 받아쳤다. 이어 “왜 대정부 질의 중간에 간섭하느냐, 거기 앉아 있다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국민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의 발언에 여당 의원들은 “사과해라 왜 반말 하느냐”고 항의했고 잠시 장내가 정리되는 듯 했다.
이어 김 의원이 다시 황 총리에게 질의를 시작하자 여당 의석 쪽에서 또다시 웅성거리기 시작했고, 김 의원은 “여기 앉아 있는 의원들은 황 총리 부하직원이냐”라며 비판했다.
또 “동료 의원이 대정부 질의를 하고 있는데 대전시민은 왜 저런 인물을 국회의원으로 뽑았냐”라며 쓴 소리를 했다. 이에 이 의원은 “어디서 대전시민을 들먹거리냐 사과하라”라고 고함을 질렀다.
의장석에 앉아있던 박주선 부의장은 “오는 말, 가는 말이 고아야 한다. 동료 의원을 존중하며 경청해야한다”며 장내를 진정시키려 했다. 하지만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감히 어디에서 대전시민을 언급하냐”고 언성을 높였고, 김 의원은 “대전 시민에게 물어보자”며 되받아 쳤다.
김 의원의 발언에 여당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며 “김 의원은 질의를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고 말하며 정회를 주장했다.
한편 김 의원과 여당 의원들의 고성이 오가는 동안 더불어민주당 의석에서는 비교적 잠잠한 태도로 일관했다. 몇몇 의원들은 “새누리당이 야당 같은 행동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김 의원과 여당 의원들 간의 고성이 이어지자 박 부의장은 3당 원내대표들과 상의한 뒤 정회를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