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독과점 영화산업, 문체부 적극 대응 필요해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의 영화 관람료 차등 인상 문제가 정치권에서도 논란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27일 국회 교육문화관광체육위 김병욱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국정감사를 맞이해 문체부 장관에게 차등요금제 도입과 팝콘 고가 판매, 강제 광고 상영 등 대기업 횡포 등에 대한 실태조사와 강력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모니터링 결과에 의하면 상영관 1위 사업자인 CGV가 지난 33일부터 도입한 좌석별 차등요금제는 점유좌석당 430원의 인상 효과가 있었으며, 5개 상영관 2개영화 기준으로 1주일동안 1천만원의 추가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 사업자인 롯데시네마도 427일부로 도입한 시간대별 차등요금제, 3위 메가박스가 74일 도입한 주말 일반시간대 요금 차등제에 대해서도 관람료를 올려 소비자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아울러 3대 멀티플렉스가 팝콘이나 탄산음료 등을 지나치게 비싼 값에 판매하는 행위도 소비자들의 불만 사항으로 접수됐다. 3대 영화관 팝콘 가격은 4500~5천원 수준으로 원재료 가격인 613원에 비해 임대료나 인건비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비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영화 상영 전 광고가 너무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2014년 한국소비자연구소 컨슈머리서치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영화 1편 상영에 평균 11분 동안 광고 22편을 봐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화진흥위원회가 김병욱 의원실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평균 영화관람료는 2006년에 비해 1,968원 인상된 8,200원으로 확인됐다. 10년만에 요금 33%가 오른 것이다. 3대 멀티플렉스 매출액 가운데 매점 수입은 201012.0%에서 201420.0%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김병욱 의원은 영화진흥위원회나 문체부가 영화 소비자들의 불만을 모니터링하거나 구체적인 조사도 않고 섣불리 판단하는 일은 탁상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거대기업 게열사가 영화 생태계 보존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일은 비난받아 마땅하나, 현실적으로 영진위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며 문체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의원은 영화 관람료 꼼수 인상, 팝콘 고가 판매, 광고 강제 상영 등은 소수 대기업의 독점에 의한 폐해라며, 소비자들이 더 편안하게 영화를 즐기고 영화산업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영화산업의 독과점을 개선하는데 정부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광주 금호타이어 화재로 공장 절반 불 타…수출에 지장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송정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공장 절반 이상이 불에 타고 타이어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인명 피해도 발생한 가운데, 완전 진화까지 수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7시 11분께 신고가 접수된 화재는 타이어 생산의 초기 단계인 정련 공정(생고무·화학약품 혼합 공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고무 예열 장치에서 불꽃이 발생하며 인근 가연성 물질에 불이 옮겨붙었고, 빠르게 확산됐다. 직원들이 초기 진화를 시도했으나 화세를 막지 못했고, 일부 건물에서는 붕괴 조짐까지 나타나며 진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까지 20대 직원 1명(다리 골절), 50대 소방관(화상), 30대 소방관(두부 외상) 등 총 3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발생한 광주공장은 서쪽(2공장)과 남쪽(1공장)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서쪽 공장의 약 70% 이상이 소실됐다.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됐고, 광주 전역 소방 인력과 장비가 투입됐다. 산림청 헬기까지 동원돼 인근 강에서 물을 퍼 날라 진화 중이다. 화재로 인한 타이어 생산 중단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는 “진화 후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