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건보료, 15년간 5.3배↑…직장가입자 3.7배, 지역가입자 2.3배


직장인들의 건강보험료(이하 건보료)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5년 동안 무려 5.3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1인당 평균 건보료도 3.3배 늘었다.


시간이 흐른 만큼 소득이 늘어난 측면도 있지만, 소득증가율 대비 높은 보험료율 증가율이 건보료 상승에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다.


이 기간 동안 직장가입자 건보료율은 90%, 지역가입자는 67% 증가했다.


14일 한국납세자연맹은 “2001년 5조2,408억원이던 건보료 징수액이 2015년에는 7.4배 증가한 38조9,659억원으로 집계됐고, 지역 건보료 징수액도 15년 동안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납세자연맹에 따르면 이 기간 직장인 1인당 평균 건보료 징수액은 66만원에서 247만원으로 3.7배 뛰었고, 지역보험료의 경우에도 세대당 평균 42만원에서 106만원으로 2.5배 늘었다.


특히, 직장인의 건보료율은 2001년 3.4%에서 2015년 6.47%로 90%, 거의 2배 가까운 인상율을 보였고, 지역가입자 역시 2002년 점수당 106.7원에서 2015년 178원으로 71.3원, 67% 올랐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건보료는 소득의 일정 비율로 부과되기 때문에 소득이 늘면 자연스럽게 건보료를 더 내야 한다. 그런데 건보료 산정에 적용되는 건보료율이 증가하면 그만큼 소득에서 더 떼가기 때문에 ‘유리지갑’인 직장인들의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같은 기간 직장인들의 건보료 징수액이 지역가입자들보다 큰 것도 이 때문이다.


납세자연맹은 “공정한 부과체계가 없는 현실에서 정치인들은 선거 때마다 건강보험 보장강화를 공약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도 건강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법률개정 없이 건보료를 매년 인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득에 비례적으로 부과되는 건보료율 인상 시 특히, ‘송파 세 모녀’ 사례와 같은 저소득층에 큰 부담이 된다”면서 “근로자에게는 임금이 물가인상률만큼 올라 실질임금인상이 제로이거나 임금이 동결돼 실질임금인상이 마이너스인 경우에도 매년 인상된 보험요율에 딸 추가적인 보험료 징수가 이뤄져 근로자들의 가처분 소득을 더 감소시킨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보험료율 인상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세법의 세율처럼 보험료율 인상을 시행령이 아닌 법률개정사항으로 해 국회의 통제를 받도록 해야 한다”며 “연간 50조원 이상의 급여를 지급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회계를 지금의 공공기관 자체회계가 아닌 중앙정부기금예산으로 해 국회의 통제를 강화하고 국가예산체계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