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9.5℃
  • 흐림강릉 12.0℃
  • 흐림서울 12.8℃
  • 구름많음대전 8.7℃
  • 박무대구 8.1℃
  • 구름많음울산 14.6℃
  • 구름조금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6.4℃
  • 구름많음고창 10.0℃
  • 구름많음제주 16.9℃
  • 흐림강화 12.2℃
  • 구름많음보은 5.9℃
  • 구름많음금산 5.9℃
  • 흐림강진군 10.6℃
  • 구름많음경주시 6.7℃
  • 구름많음거제 16.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성공적 삶에 좋은 직장은 필수?…베이비붐 73.5%·밀레니얼 46.4% “그렇다”

 

직장에 대한 가치관이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는 10명 중 7명 이상이 성공에 좋은 직장은 필수라고 생각했지만, 밀레니얼 세대의 절반 이상을 “그렇지 않다”고 봤다.

 

15일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세대별 성인남녀 4,843명을 대상으로 ‘직장의 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성공적인 삶을 위해 반드시 좋은 직장에 들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속성장과 경제개발의 주역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는 73.5% ▲전후 세대(1940~1950년대 초반) 는70.2%가 “그렇다”고 답해 다른 세대에 비해 직장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386세대(1960년대, 55.0%)  ▲X세대(1970년대, 51.9%)도 절반 이상이 성공적인 삶을 위해 좋은 직장이 필수하고 생각했다.

 

반면,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대)는 46.4%만이 이에 동의해 베이비붐 세대와 30%가량 차이를 보였다.

 

세대별로 생각하는 ‘성공적인 인생’에 대한 견해도 달랐다.

 

전후세대는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을 가졌고,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삶(31.6%)’이라고 생각했고, 베이비붐 세대는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며 가족과 화목한 삶을 사는 것(26.5%) ▲돈을 많이 벌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것(26.5%)을 성공적인 인생이라고 봤다.

 

그에 반해 386세대(62.1%)와 X세대(66.2%)는 절반 이상이 ▲큰 걱정 없이 안정된 수입으로 가족과 화목한 삶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밀레니얼 세대(27.5%)는 ▲수입은 적지만 좋아하는 일, 취미활동을 즐기면서 사는 삶을 성공적이라고 판단했다.

 

한편,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있어 세대 차이를 가장 많이 느끼는 세대로는 386세대(47.1%)와 X세대(38.0%), 베이비붐 세대(36.8%) 모두 밀레니얼 세대를 1위로 꼽았다.

 

밀레니얼 세대는 386세대(25.3%), X세대(25.2%)와 세대 차이를 느끼는 경향이 많았고, 전후 세대는 X세대(38.6%)가 1위였다.

 

세대 차이를 느끼는 상황으로는 전후세대의 경우 ▲사용하는 단어나 말투가 다를 때(22.8%) ▲회식 등 친목도모 모임에 대한 견해 차이(21.1%)를 가장 많이 꼽았고, 베이비붐 세대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다를 때(20.6%) ▲개인주의 성향(20.6%)이 1위를 차지했다.

 

386세대는 ▲개인주의 성향(32.9%) X세대는 ▲개인주의 성향(24.3%) ▲사회적 이슈 등 일상적인 대화 주제가 다를 때(18.1%) 세대 차이를 느낀다는 응답이 많았다.

 

밀레니얼 세대가 세대 차이를 느끼는 순간은 ▲조직 중심 경향(17.7%) ▲업무 방식이 다를 때(16.0%)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