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2.0℃
  • 흐림서울 16.0℃
  • 흐림대전 17.6℃
  • 흐림대구 15.4℃
  • 흐림울산 17.6℃
  • 흐림광주 18.3℃
  • 흐림부산 18.5℃
  • 흐림고창 18.6℃
  • 흐림제주 18.8℃
  • 흐림강화 14.1℃
  • 흐림보은 15.8℃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8.0℃
  • 흐림경주시 14.5℃
  • 흐림거제 19.0℃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대형 멀티플렉스 시트 10년에 한 번 갈까 말까…“요금 올릴 궁리하는 만큼이라도 위생 신경 써라”

 

국내 주요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좌석 시트 교체 주기가 평균 10여년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관 개관 이후 20년 만에 시트를 교체한 곳도 있었다.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문화생활을 향유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이 요금 인상에만 급급한 채 이용객들을 위한 위생관리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9일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A 브랜드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영화관 환경관리 시행내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 26개 지점 중 11곳이 개관 이후 단 한 번도 시트 교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중 명동 소재의 지점은 2010년 개관 이후 10년 동안 시트 교체가 이뤄지지 않았고, 시트 교체가 이뤄진 15곳의 평균 교체 주기는 약 10년이었다.

 

이들 지점 중 5곳은 김 의원이 지난해 10월 ‘영화관 시트 교체 현황’ 관련 자료를 요구하자 그 직후 시트를 교체했고, 서울 광진구에 소재한 한 지점은 1998년 개관 이후 20년 만에 시트를 교체하기도 했다.

 

해당 업체들은 지점별로 위생관리를 위한 이른바 ‘특수청소’를 하고 있었는데, 2017년까지 연 2회만 실시하던 것을 지난해에는 패브릭(천 직물) 좌석에 대해서 3회로 상향 조정했을 뿐이다.

 

영화관 시트는 천 직물 소재로 돼 있어 그동안 좌석 시트의 위생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바 있다. 아무리 주기적으로 ‘특수청소’를 한다고 해도 개관 이후 10여년에 이르러서야 시트를 교체하고 있다는 사실은 영화관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위한 최소한의 위생관리도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김 의원은 “영화는 우리 국민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 분야로, 지난 한 해 총 관객 수가 1억1,014만명에 달한다”며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앞으로 문화생활을 향유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날 텐데, 정작 대형 멀티플렉스들이 관람료 인상에만 급급한 채 위생관리 등 기본적인 서비스는 등한시하고 있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국내 영화관 산업이 다소 정체하고 있어 멀티플렉스 업체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 최근의 성장 둔화가 정작 관객에 대한 기본을 지키지 않는 것에서 비롯된 것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는 영화관 좌석과 관련한 환경위생기준을 마련해 주기적으로 조사, 국민들게 공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울산 화력발전소 매몰 사고...나머지 실종자 수색 난항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매몰 실종자 2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8일로 사흘째 이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난항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밤 야간작업에서도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날이 밝은 뒤 현장에는 때때로 굵은 빗방울이 떨어져 더 애를 태우는 상황이다.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가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소방 당국은 밤사이 구조대원 40여명을 5인 1조로 30분씩 교대로 투입하고, 드론, 열화상 탐지기, 내시경 카메라를 동원해 현장을 수색했으나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로 인한 매몰자는 모두 7명으로 실종자 2명을 제외하고 사망자는 3명, 사망 추정자는 2명이다. 소방 당국은 무너진 보일러 타워의 철재 구조물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구조안전기술사 등 전문가들과 효율적인 수색·구조 방안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 소방 당국은 사고 발생 사흘째인 이날도 대원들을 구조물 안으로 투입해 수색과 구조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장에는 오전 10시쯤 비가 내리기도 했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이날 현장 브리핑에서 "구조물 내 철재 빔 등이 있기 때문에 접근이 굉장히 어렵다"며 "현재 장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주저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