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서울시, 전기·수소차 3,446대 추가 보급…2일부터 보조금 접수

지난 2월 민간 6,022대에 이어 2차 보급

 

서울시가 민간에 420억원을 투입해 전기·수소차 3,446대를 추가 보급한다고 2일 밝혔다.

 

추가보급 차종은 전기 승용차 1,755대, 전기 이륜차 1,259대, 수소 승용차 432대다. 이번 추가 보급은 지난 2월 민간보급 6,022대에 이은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전기차는 올해 7월 현재 1만6,202대를 보급했고, 수소차는 146대가 운행 중이다.

 

이번 추가보급은 2일부터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전기·수소차 구매를 희망하는 서울시에 주소를 둔 개인, 기업 등이 대상이다.

 

신청방법은 구매자가 자동차 제조·판매사와 구매계약을 체결하고 정해진 기한 내 출고 가능한 차량에 한해 구매 지원을 신청하면 된다.

 

지원되는 구매보조금은 차량 성능과 대기환경 개선효과에 따라 차종별로 차등 지원된다. 전기 승용차는 1,206~1,350만원, 전기화물차(소형)는 2,700만원, 전기이륜차(경형)는 200~230만원, 수소전기차는 3,500만원을 지원한다.

 

구매보조금은 서울시에서 자동차 제조·판매사에 지급되고 구매자는 자동차 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액을 제조·판매사에 납부하면 된다. 이때 보조금은 자동차 출고·등록순으로 지원된다.

 

특히 서울시는 구매보조금과 별도로 대기질 개선을 위해 노후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을 폐차하고 전기차로 전환하는 경우 대당 50만원을 지급한다. 녹색교통지역 거주자인 경우에는 최대 100만원까지 추가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국가유공자, 장애인, 다자녀 가구의 경우 1인 1회 한정해 50만원을 추가 지원하고, 친환경 교통수단을 통한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나눔카 사업용 차량에는 대당 15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내연기관 이륜차를 사용폐지 후 전기 이륜차로 전환 시에도 2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세제감면과 주자요금 할인도 지원된다. 전기차는 최대 530만원, 수소차는 660만원의 세제감면과 공영주차장 주차료 50% 할인,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100% 면제 등의 혜택이 있다.

 

김의승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구매수요에 대응하여 친환경차 보급을 확산하고 시민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충전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겠다"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