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100일…직장인 65% “달라진 것 없다”

향수 지적에 쓰레기 분리수거까지…‘상상 이상’ 직장 갑질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100일이 지났지만, 직장 내 갑질은 여전했다.

 

법 시행에 기대를 걸기는커녕 신고조차 어려운 상황으로, 직장인의 10명 중 6명 이상은 괴롭힘 금지법 시행 이후 달라진 점이 없음을 지적했다.

 

29일 인크루트는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회원 7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9.3%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중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이후 직장 내 갑질을 당했다는 직장인은 28.7%였다.

 

괴롭힘 유형 1위는 ‘업무과다(18.3%)’였다.

 

이어 ▲욕설·폭언(16.7%) ▲근무시간 외 업무 지시(전화, 이메일, SNS 등, 15.9%) ▲행사, 회식참여 강요(12.2%) ▲사적용무, 집안일 지시(8.6%) ▲따돌림(6.9%) ▲업무배제(6.2%) ▲성희롱, 신체접촉(5.4%) ▲기타(4.2%) 등이었다.

 

특히, 주관식으로 입력된 기타 답변을 통해 업무 외 갈굼, 텃세는 예사고, 윗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불합리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것을 암시하는 발언, 종교 및 사생활 간섭이 내재화된 모습들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었다.

 

▲머리카락이 많이 떨어진다고 업무 도중 청소기를 돌리라고 한다거나 ▲사주를 준다고 하면서 태어난 시 등 지나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행위 ▲툭하면 직원들에게 시말서를 쓰라고 하는 중소기업 가족회사 임원 ▲종교활동 참여 강요 ▲직위를 이용한 업무 이외의 갈굼 ▲직급으로 의견을 묵살하거나 독단적 운영 등이 있었고, 심지어 ▲향수 사용을 지적하거나 ▲쓰레기 분리수거 ▲금품 갈취 행위도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태가 이 정도 수준에 이르렀지만, 직장 내 을의 입장에서 갑의 태도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직장 갑질을 신고했다고 답한 직장인은 15.3%에 그쳤고, 그중 10.8%는 신고했지만, 그마저도 회사에서 받아주지 않았다고 답했다.

 

제대로 신고한 직장인은 4.5%에 불과했고, 나머지 84.7%의 직장인은 괴롭힘을 당했지만, 함구한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다름 아닌 ‘신고해도 달라질 것 같지 않아서(35.1%)’였다.

 

다음으로 ▲괴롭힘 정황은 있으나 신고할 만한 증거가 없어서(27.5%) ▲신고가 어려운 사각지대에서 근무하기 때문에(10.2%) 등 신고가 어렵고, ▲신고하면 불이익이 있을 것으로 협박해서(11.6%) ▲신고해도 모른 척 회피해서(11.0%) 등 신고하고자 한들 회사에서 회피 또는 협박하기 때문 등이 뒤를 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