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0.5℃
  • 흐림강릉 14.1℃
  • 맑음서울 12.9℃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7.2℃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남성 직장인 70.5% “육아휴직 낼 의향 있다”

2015년 조사 대비 3배 이상 증가…‘사내 육아휴직 쓴 남성직원 있다’ 26.2%

 

올해 2월 말부터 부부 동시 육아휴직이 가능해지면서 부부 공동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하는 가운데, 실제 남성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배우자 대신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지난해 12월10일부터 31일까지 남녀 직장인 1,578명을 대상으로 ‘남성 육아휴직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장인 87.3%가 ‘남성들이 아내 대신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여성 직장인(88.7%)의 찬성 응답이 남성 직장인(84.9%)보다 많았고, 기혼(맞벌이) 직장인(89.1%), 미혼 직장인(86.7%), 기혼(외벌이) 직장인(84.5%)이 뒤를 이었다.

 

특히, 남성 직장인 중 70.5%는 ‘배우자 대신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5년 조사 당시 22.0%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 남성 직장인도 육아휴직을 마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와 관련해서는 11.1%가 ‘마음 편히 사용할 수 있다’, 50.5%는 ‘눈치는 모이지만 사용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38.4%는 ‘사용할 수 없다’고 응답해 아직도 남성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기업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로는 ‘회사 분위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0.6%로 가장 높았고, ‘업무복귀 후 승진이나 인사평가 등 불이익을 받을까봐’ 17.2%, ‘돈을 벌어야 해서’ 15.7%, ‘상사가 눈치를 주고 싫어하기 때문’ 11.2%, ‘업무이관 등 동료들에게 부담을 주기 때문’ 9.7% 등이었다.

 

실제 남성 육아휴직 사용 현황에 대해서는 26.2%의 직장님들이 ‘사내에 육아휴직을 쓴 남성직원이 있다’고 답했다.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 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공기업 근무 직장인들의 경우 49.7%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 45.3%, 외국계 기업 32.1%, 중소기업 20.0% 순이었다.

 

한편,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55.4%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다’고 응답했다.

 

이어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가능하다’ 41.3%, ‘많은 부분이 가능하다’ 3.3% 등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