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아르바이트 중장년 4명 중 1명 “최저임금 못 받아”

평균 시급 6,900원…“아르바이트, 생업” 절반 이상
근로계약서 작성 안 한 경우도 절반에 달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4명 중 1명은 최저시급 미만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임금 미만의 임금을 받는 중장년층이 받는 평균 시급은 6,900원에 불과했다.

 

6일 알바콜이 지난해 12월27일부터 12월31일까지 40대~60대 회원 915명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2.5%가 “최근 1년 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40대는 74.1%로 가장 많았고, ▲50대 70.1% ▲60대 67.1% 순이었다.

 

아르바이트 유형으로는 ▲사무보조(18.4%) ▲일용직 단순근로(17.2%) ▲매장관리(14.6%) ▲배달 및 운송(7.6%) ▲제조(6.0%) ▲건설현장(5.7%) ▲서빙(5.4%) ▲주방·운전(각 4.8%) 등이었다.

 

이들의 절반 이상(57.7%)은 아르바이트를 생업으로 삼고 있었다. 나머지 42.3%는 본업(직장 및 자영업)과 함께 아르바이트를 병행했다.

 

아르바이트가 생업인 경우는 남성(47.9%)보다 여성(68.2%)이 더 많았고, 정기근무(39.3%)보다는 비정기근무(60.7%) 비율이 더 높았다.

 

즉, 중장년층 4명 중 3명 이상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고, 그 중 절반 이상은 아르바이트가 생업이지만, 그마저도 비정기적으로 일할 때가 더 많다는 것이다.

 

중장년층이 아르바이트에 뛰어든 가장 큰 이유도 ‘생활비’ 때문이었다.

 

응답자의 39.4%가 ‘생계유지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답했고, ▲재취업이 어려워서(35.0%) ▲(많은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 일자리를 희망하기에(10.9%) ▲노후자금 준비·전직에 앞서 업무를 배워보기 위해(각 4.6%) ▲원래 하고 싶었던 일이어서(3.2%) 등 순이었다.

 

그러나 중장년층은 4명 중 1명꼴로 최저시급 미만을 받으면서 일하고 있었다.

 

2019년 최저임금인 시간당 8,350원 미만을 받는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21.3%였다.

 

이들은 ▲점주 결정(44.7%) ▲근무 형태가 유동적(41.7%)이기 때문에 최저임금 미만의 임금을 받는다는 응답이 각각 1, 2위에 올랐고, ▲최저시급이 얼마인지 몰라서(8.3%) 최저임금 미만의 임금을 받으면서도 그 대우를 인정해왔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받는 평균 임금은 2017년 최저임금(6,470원) 수준인 6,900원이었다.

 

한편, 이들 중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비율은 49.7%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