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중장년 구직자, 평균 14개사 지원·4곳서 면접 본 후 재취업 성공

 

재취업에 성공한 중장년 구직자들은 평균 14개 회사에 지원하고, 4개사에 면접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는 작년 11월27일부터 12월11일까지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 352명을 대상으로 한 ‘2019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40세 이상 중장년들이 퇴직 후 재취업을 위해 입사 지원한 회사 수는 ▲5개사 미만이 43.2%로 가장 많았고, ▲5개사 이상 10개사 미만 26.5% ▲10개사 이상 20개사 미만 14.9% 순이었고, ▲100개사 이상 지원했다(3.2%)는 응답도 있었다.

 

면접의 경우에는 ▲5개사 미만이 68.4%로 가장 높았고 ▲10개사 이상 15개사 미만 5.2%로 조사됐다.

 

중장년 구직자들은 본인의 경제활동이 67세까지 지속되기를 희망했다.

 

원하는 급여 수준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이 32.7%로 가장 많았고,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24.7% ▲2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17.6% 순이었다. ▲500만원 이상을 희망한다는 응답도 2.6%를 차지했다.

 

이들이 재취업 후 받는 임금 수준은 오랜 기간 재직했던 주된 직장에서의 임금 대비 ▲50% 미만 26.4% ▲50% 이상 ~ 60% 미만 21.3% ▲70% 이상 ~ 80% 미만 18.1% 등이었고, 더 많이 받았다는 응답은 8.4%에 그쳐, 전체적으로 과거 직장 임금 대비 평균 66.3%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조사 결과인 평균 61.6% 대비 4.7%p 상승한 것이다.

 

재취업에 성공한 중장년 10명 중 7명(67.1%)은 2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했다.

 

세부적으로 ▲1년 이상 2년 미만이 21.9% ▲6개월 이상 1년 미만 21.3%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14.2% 등 순이었고, ▲5년 이상 근무했다는 응답은 7.7%에 불과했다.

 

이를 작년과 비교해 보면 2년 이내 퇴사자의 경우 작년 74.6% 대비 7.5%p 줄어든 것이다.

 

이들은 재취업 활동을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중장년 채용수요 부족(38.9%)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36.1%) ▲새로운 기술·직무역량 부족(16.5%) 등을 꼽았다.

 

박철한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경력과 경험이 뛰어난 중장년이 한 직장에서 장기 근속하지 못한다는 점과 이들이 재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는 것은 중장년 채용수요 부족이라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며 “중장년 재취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업의 중장년 채용인식 전환과 중장년 장기근속 지원과 같은 정부의 핀셋지원 확대 등 다각도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