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대졸 예정자 중 정규직 취업 11.6%에 불과

이공계열 14.8%, 인문계열 7.3%만 정규직 취업 성공
정규직 취업자 64.3% “여전히 구직활동 중”

 

올해 대학 졸업 예정자 중 11.6%만이 졸업 전에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졸 예정자들의 2월 기준 취업 현황은 지난해 조사 대비 정규직·비정규직 모두 소폭 증가한 것이다.

 

잡코리아가 지난 17일부터 25일까지 올해 국내 4년제 대학의 졸업 예정자 605명을 대상으로 취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정규직으로 취업했다”는 응답은 11,6%였고, “비정규직으로 취업했다” 13.2%, “아직 취업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72.9%였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는 ‘정규직 취업자’ 11.0%, ‘비정규직 취업자’ 10.0%였다.

 

전공계열 별로는 ▲이공계열 전공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14.8%로 가장 높은 반면, ▲인문계열은 7.3%에 그쳐 2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정규직 취업률은 각각 12.0%, 11.2%로 비슷했다.

 

취업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32.7%) ▲대기업(22.7%) ▲중견기업(22.0%) 순이었다.

 

한편,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졸예자 64.3%는 상반기에 신입직 구직활동을 계속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정규직 취업자의 30%는 상반기 대기업 신입공채 준비를, 24.3%는 공기업·공공기관 채용을 준비하고 있었다.

 

비정규직의 경우에는 대다수(83.8%)가 상반기 신입직 구직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