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1℃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2℃
  • 맑음대구 13.9℃
  • 맑음울산 13.3℃
  • 맑음광주 13.0℃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12.7℃
  • 맑음제주 14.2℃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11.8℃
  • 맑음금산 11.8℃
  • 맑음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2.8℃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中企 신입사원 퇴사율 20%…절반 이상 ‘3개월 이내 퇴사’

 

어렵게 취업한 회사에서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하는 신입사원이 5명 중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중소기업 543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퇴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입사한 지 1년 이내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다’는 응답이 77.3%에 달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5곳 중 약 4곳꼴로, 이들 기업이 밝힌 신입사원 조기 퇴사율은 평균 20.2%였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의 절반은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조기 퇴사자의 근무 기간을 조사한 결과 ▲입사 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37.6%로 가장 많았고, ▲입사 후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27.6%, ▲입사 후 한달 안에 퇴사한 신입사원도 17.6%나 됐다.

 

결국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 중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퇴사한 경우가 55.2%(17.6%+37.6%)로 절반 이상인 것이다.

 

인사담당자가 밝힌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의 퇴사 이유(복수응답)는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37.1% ▲조직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서 23.6% ▲연봉이 낮아서 22.6% 순이었다.

 

이외에는 ▲과도한 업무로 스트레스가 높아서(19.8%)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19.0%) ▲복지제도에 만족하지 못해서(13.3%) 등도 뒤를 이었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가 발생한 직무(복수응답)는 ▲영업·영업관리(30.2%)와 ▲생산/기술/현장직(30.0%)이 가장 많았고, ▲텔레마케팅·고객선터(14.5%) ▲판매서비스(12.6%) ▲마케팅·홍보(12.1%) 등으로 조사됐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막기 위해 기업들은 ▲선배의 멘토링 ▲복지제도 개선 ▲업무조정 등 다양한 제안을 한다고 답했다.

 

‘신입사원의 퇴사를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조사에 대해 ▲선배의 멘토링을 받을 수 있도록 제안한다는 답변이 응답률 21.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향후 복지제도가 개선될 것을 약속한다(19.0%)거나 ▲업무 조정을 제안한다(17.3%) ▲직원의 역량강화 및 커리어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13.8%) ▲원하는 부서로 이동을 제안한다(12.9%) ▲연봉 조정을 제안한다(11.6%) 등이 뒤를 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