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슬의생’ 속 진단 알아보기] 소아 심장질환 최후의 보루 ‘소아심장이식’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3화에서는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바드 치료를 받고 있던 민찬이가 심장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민찬이 보다 먼저 바드 치료를 받고 있던 은지의 엄마는 ‘기적’을 외쳤지만, 다시 미뤄진 딸의 이식 기회에 대한 아쉬운 눈물을 흘리면서 시청자들에게 찡한 장면을 보여줬다.

 

 

심장 이식은 수술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수술로 꼽히는 소아심장이식에 대해 서동만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알아봤다.

 

Q. 우리 몸에서 혈액이 하는 역할?

 

혈액은 우리 몸 전체를 돌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정맥을 통해 심장의 우심방으로 들어온 다음에는 우심실, 폐동맥을 거쳐 폐로 가게 되는데요.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를 받아 폐정맥, 좌심방,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을 통해 온몸을 돌게 됩니다.

 

Q. 선천성 심장병이란?

 

아이가 출생 시 존재하는 심장의 기형 및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심장은 자궁 내 태아기 3주에서 8주 사이에 만들어지는데 선천성 심장병이란 심장 형성 및 발달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질환으로, 흔히 선천성 심장 기형을 말하며, 태아기에 진단되기도 하고 출생 후 수년 후에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진단은 어떻게?

 

우리나라 소아 100명당 1명은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 중 60~70%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임신 중 심장이 발달하는 시기에 초음파를 통해 진단되거나 태어난 후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Q. 발병 원인과 주의점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족 중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이 있으면 임신 전 유전 상담을 하거나 임신 초기에 약물 복용을 삼가고 다른 질환에 걸리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Q. 가장 흔한 심장질환은?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가장 흔한 심실중격 결손증, 심방중격 결손증 등의 비교적 단순 기형과 덜 흔한 복잡 심장 기형들이 있습니다.

 

Q. 치료는 어떻게?

 

선천성 복잡 심장 기형을 가진 아이들은 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장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못할 경우엔 심장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선천성 또는 후천성 심근증으로 인해 심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심근에 병변이 생겨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심장이식은 뇌사자로부터 공여를 받아야 하므로 이식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습니다. 특히나 소아 심장이식 수술의 경우 성인에 비해 소아 뇌사 사례가 드물고 기증자와 공여자의 연령이나 체중이 비슷한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