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1.7℃
  • 흐림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20.8℃
  • 흐림대전 16.7℃
  • 대구 14.9℃
  • 울산 13.0℃
  • 흐림광주 16.8℃
  • 흐림부산 16.5℃
  • 흐림고창 12.0℃
  • 박무제주 13.9℃
  • 구름많음강화 20.2℃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6.0℃
기상청 제공

이슈


판매량 대비 급발진 신고율, 르노-BMW-현대-쌍용-지엠-벤츠-기아 순

르노코리아, 취재요청에 '묵묵부답'

 

지난해 12월 강릉에서 할머니가 운전하던 SUV 차량이 지하통로로 추락해 12살 손자가 숨진 사건을 계기로 급발진 사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기자는 국내 주요 자동차 판매사들의 (국내) 판매량 대비 급발진 신고 건수를 비교분석했다. 실제 판매 차량 대비 급발진 신고 건수가 높은 제조사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신고 건수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동차리콜센터 급발진 신고현황’ 자료를, 판매량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자료를 참고했다.

 

그 결과 2017년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신고된 급발진 건수는 현대자동차 95건, 기아자동차 29건, 르노코리아 18건, BMW코리아 15건, 쌍용자동차 11건, 한국GM 9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7건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각 제조사별 판매량은 현대차 405만7274대, 기아차 297만4758대, 쌍용차 50만2135대, 르노코리아 46만5287대, 한국GM 46만1083대, 벤츠코리아 41만5476대, BMW코리아 37만9532대였다.

 

두 자료를 기준으로 급발진 신고현황에 제조사별 판매량을 나눠 백분율을 산출해보니 국산차 중에서는 르노코리아(0.0038)가, 수입차 중에서는 BMW코리아(0.0039)가 판매량 대비 급발진 신고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차(0.0023) ▲쌍용차(0.0021) ▲한국GM(0.0019) ▲벤츠코리아(0.0016) ▲기아차(0.0009) 순이다.

 

이에 대해 BMW코리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급발진 이슈의 경우 제조사 측의 문제나 결함으로 아직 판명된 바가 없고 법적으로 명확하게 결론이 난 부분이 없어 따로 공식적 입장을 말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르노코리아는 고객센터를 통해 본사와 연결을 수차례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고, 강남 소재 서울사무소를 찾아가 반론을 요구했으나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GS건설 "안전해" vs 주민들 "불안"...'펑' 하더니 기둥 일부 날아간 서울역 센트럴자이
전날(2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1층 건축물 하단부 기둥 대리석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는 신고가 경찰과 소방에 접수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펑' 소리와 함께 아파트가 흔들렸다는 글과 함께 기둥 외벽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습, 아파트 곳곳에 균열이 생긴 모습의 사진들이 올라왔다. 이에 기자는 22일 오전 해당 현장을 직접 찾았다.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진 파손지점에는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펜스나 가림막도 설치돼있지 않았고 현장을 관리하는 관계자도 없었다. 등교 시간 어린이들이 언제든 호기심에 파손 현장에 들어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파손이 발생한 아파트 위치를 묻는 기자 질문에 “알려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울역 센트럴자이 내 파손 현장은 동굴처럼 깜깜해 플래시나 전등을 켜지 않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휴대폰 카메라 플래시를 켜고 본 현장에는 파손된 천장과 비내력벽(자체 하중만 받고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는 벽)이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져 있었고 천장에서 낙하한 타일과 파손된 비내력벽 조각들이 한곳에 정리돼 있었다. 현장을 지나가던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입주민 A씨는 기자에게 “연일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