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4 (금)

  • 구름많음동두천 18.0℃
  • 흐림강릉 10.0℃
  • 황사서울 18.2℃
  • 황사대전 16.6℃
  • 황사대구 12.8℃
  • 흐림울산 12.0℃
  • 황사광주 13.2℃
  • 흐림부산 12.8℃
  • 흐림고창 9.6℃
  • 제주 11.0℃
  • 구름많음강화 13.9℃
  • 구름많음보은 13.7℃
  • 구름많음금산 14.9℃
  • 흐림강진군 9.6℃
  • 흐림경주시 11.9℃
  • 흐림거제 12.8℃
기상청 제공

사회


목포 발전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에 시민 300여 명 참석

- '목포·신안 통합 상생방안 핵심 담론

'목포 미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주제로 하는 「목포 발전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가 지난 4일 오후 3시, 목포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에서 개최됐다.

 

배종호 세한대 교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는 (사)상생나무 김종익 이사장이 발제를 맡았고, 정기영 세한대 교수와 연규헌 박사(도시공학)가 패널로 참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배종호 교수는 “우리 목포는 지역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며 "신안군 또한, 정부가 정한 지역소멸위기 지역 가운데 가장 위험한 악성지역으로 분류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목포시와 신안군 두 지역이 함께 살려면 통합이 절실하다”면서 “두 지역이 여수, 순천, 광양을 능가하는 전남 '제1'의 중심도시가 되려면 반드시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익 이사장은 "목포 발전을 위해서는 서남권 중심도시의 기능이 회복돼야 한다“면서 ”특히 인근지역인 진도군, 완도군, 해남군 등 7개 지역이 서남권 혁신논의체 같은 객관적 논의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정기영 세한대 교수는 “고착화된 기득권 구조 타파”를 주장하며 “지역 리더십과 정치적, 경제적 리더십의 대혁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 연규헌 박사는 “목포라는 도시형성에 있어 근대역사는 곧 목포역사였다”며 “교통과 교육, 경제가 어우러진 도시로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목포·신안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300여 명의 목포시민들이 참석해 목포가 서남권 중심도시로 가기 위해서는 '통합'이 필요하다는 데 큰 호응을 보냈다.

 

한편, 이날 열린 ‘목포 발전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 는 목포리더스클럽, 목포미항가꾸기시민운동본부, 한국문화예술진흥회 전남본부, 목포전통시장상인연합회, 한국여성유권자연맹, 더불어 서남권 시민연대와 목포미래비전 등 7개 시민단체가 주최하고, 목포투데이, 남악신문, 재목영암향우회 등이 후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황근 농림부 장관, 양곡관리법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에 거부권 제안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3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률안에 대한 재의 요구안(거부권)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에 대해 그 뜻을 존중해야 하지만 이번 법률안은 그 부작용이 너무나 명백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개정안이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이후 정부는 지속적으로 개정안에 대한 부작용을 설명드리며 국회에 심도있는 논의를 요청드렸다“며 “많은 전문가도 개정안에 반대 목소리를 내왔으며 38개나 되는 농업인 단체·협회,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도 신중한 재고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야당 주도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수정안도 의무 매입 조건만 일부 변경했을 뿐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하는 본질적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다”며 “쌀 생산 농가와 농업 미래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변함없다. 그동안 계속 밝혀왔듯 (개정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