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8.8℃
  • 구름조금강릉 12.5℃
  • 맑음서울 10.7℃
  • 맑음대전 11.5℃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1.4℃
  • 구름많음광주 11.9℃
  • 구름조금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13.4℃
  • 맑음강화 8.6℃
  • 맑음보은 10.9℃
  • 맑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일본과 동남아시아 1일 여행비용은 약 20만원, 제주도보다 7만 원 높아,

-일본, 태국 여행 가성비 최고, 프랑스는 최악

-해외여행자 1일당 평균 지출 비용 30만원 대

 

해외여행지 일본과 태국이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반면 프랑스와 미국은 가장 가성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 여행자가 많이 찾는 27개 해외여행지의 하루 여행비용 순위와 여행지 만족도 순위를 비교해 이른바 ’가성비 지수‘를 만들었다.

 

이를 테면, 여행 비용 순위(고비용 상위)와 만족도 순위(고만족 상위)만의 차이를 구해 ‘+’ 값이 크면 ‘고 가성비’, ‘-‘ 값이 크면 ‘저 가성비’로 분류하는 식이다.

 

이런 식으로 가성비 지수’를 구한 결과, ‘저비용 고만족’의 가성비 우수 여행지 1위는 일본과 태국이었다. 이들 국가는 가성비 지수(+14)가 27개 국가 중 가장 컸다. 이어 호주, 인도네시아, 베트남, 스페인 순으로 나타났다.

 

‘고비용 저만족’의 가성비 미흡 여행지는 프랑스(-16)였다. 이어 미국(-13), 하와이(-12), 영국(-9) 순이었다. 이들 국가의 하루 여행비는 평균 35만~45만 원 대로 최상위 수준(1~7위)이었지만 만족도는 모두 중하위권(13~20위)에 그쳤다.

 

반면 ‘고비용 고만족’의 우수 여행지는 ‘스위스, 이탈리아, 뉴질랜드’ 순이었다. 이 국가들은 여행비용과 만족도 순위가 모두 최고 수준이며, 차이도 거의 없었다.

 

해외여행자가 지출한 총 여행비용은 평균 257.5만원으로 1일당 30만원 꼴이었다.

 

대륙별로 유럽이 444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북미(355만7000원), 남태평양(223만9000원), 아시아(144만6000원) 순으로 권역별 차이가 컸다.

 

물가가 비싸고 기간도 많이 소요되는 유럽 여행은 가장 저렴한 아시아권 여행 대비 총비용이 3배 이상 들었다.

 

1일당 비용으로 환산하면 ‘하와이’가 평균 45만8000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스위스(41만1000원), 프랑스(40만8000원), 이탈리아와 영국(각 39만원) 순으로 유럽 국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항공료가 비싸고 외식비, 숙박비 등 물가가 아시아권보다 현저히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행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국가는 필리핀으로 19.9만원이다. 이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순으로 모두 20만원 대 초반이었다.

 

아시아 여행지 중 한국인이 많이 찾는 일본,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1일당 여행 비용은 약 20만원이다. 국내 여행지 중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제주도는 13만2000원이다. 아시아 국가 여행은 제주 여행 경비의 약 1.5배면 가능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여행자 만족도에서도 아시아는 국내 여행지를 앞섰다. 아시아 지역 여행자의 평균 만족도는 734점으로 국내여행지 만족도 1, 2위인 부산(736점), 강원(735점)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반면 3위인 전남(724점)이나 4위 제주(723점)보다는 10점 이상 높았다.

 

해외여행 최고 가성비 국가인 일본(767점), 싱가포르(763점)의 높은 만족도와 비교하면 국내여행지의 열세는 심각한 수준이어서 국내 여행지의 패러다임이 확 바뀌지 않으면 해외로 쏠리는 여행자들로부터 갈수록 외면을 당할 것으로 보인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개성공단 가동 중단 10년···멈춰선 남북의료 협력 방안은?
‘개성공단 재개전망 남북의료 협력방안 모색 세미나’가 20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지난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사실상 10년 가까이 멈춰선 남북 경제·의료 교류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취지다. 세미나는 이재강 국회의원(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김남중 통일부 차관, 유성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사장과 정근 온병원그룹 회장(이사장) 등 그린닥터스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그린닥터스 개성공단 남북협력병원은 2004년 11월 개성공단 응급진료소 무료 진료를 시작했다. 2006년에 개성공업지구 그리닥터스 남북협력병원을 설립한 이후, 2007년 1월부터 남북협력병원 정식 진료를 개시했으나 2012년 12월 운영을 종료했다. 정근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2004년 통일부 지정으로 시작된 개성병원은 1945년 이래로 60년만의 첫 남북협력병원인데 개성공단이 문을 닫으면서 중단됐다”며 “교류 중단 이후에는 저희가 역사에 기록을 남기기 위해 백서도 발간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저희가 개성공단에 들어간 지 20주년이 되는 해인 만큼 이번 세미나를 통해 남북이 화해와 교류를 통한 대화의 물꼬가 터지길 바란다”고 덧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