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흐림동두천 18.7℃
  • 맑음강릉 24.9℃
  • 구름많음서울 20.0℃
  • 맑음대전 23.6℃
  • 구름많음대구 20.8℃
  • 흐림울산 19.1℃
  • 맑음광주 21.9℃
  • 흐림부산 16.0℃
  • 맑음고창 21.2℃
  • 맑음제주 21.9℃
  • 흐림강화 17.0℃
  • 맑음보은 20.1℃
  • 구름조금금산 23.2℃
  • 구름조금강진군 21.4℃
  • 구름조금경주시 22.8℃
  • 흐림거제 17.6℃
기상청 제공

정치


국힘 37% VS 민주 35% ...양당 격차 1주 전보다 줄어

갤럽 2024년 2월20~22일 (넷째주) 조사 결과

 

23일 발표한 갤럽의 2월 넷째 주(20~22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7%, 더불어민주당 35%로 나타났다. 개혁신당 3%, 녹색정의당 2%, 새로운미래, 진보당, 그 외 정당 각각 1%,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無黨)층 20%다.

 

한 주 전 갤럽 조사에서 국힘과 민주 양당은 각각 37%, 31%를 보였는데, 국민의힘은 수치 변동이 없고, 더불어민주당은 4% 올라 양당 격차가 2%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이루고 있다.

 

 

성향별로는 보수층의 70%가 국민의힘, 진보층의 68%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 33%, 국민의힘 30%,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가 29%를 차지했다.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선 ‘잘하고 있다’ 34%, ‘잘못하고 있다’58%로 나타났다. 전주에 비해 부정 평가는 변동이 없고, 긍정평가는 33%에서 34%로 1%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의견유보(어느 쪽도 아님)는 ’2%, ‘모름/응답거절’ 5%다.

 

윤 대통령이 현재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자(80%), 70대 이상(65%) 등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94%), 30~50대(70% 내외) 등에서 많다. 성향별 직무 긍정률은 보수층에서 61%, 중도층 27%, 진보층 8%다.

 

 

국민의힘 지지자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보다 자당 더 긍정적으로 평가

 

갤럽은 이번 리포트에서 “국민의힘 지지자는 대체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보다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 이미지를 더 후하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예컨대 국민의힘 지지자가 측면별로 국민의힘을 선택한 비율은 최고 80%(경제발전), 최저 67%(서민복지)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지의 자당 선택 비율은 최고 65%(국민 여론 반영), 최저 51%(변화·쇄신) 수치를 제시했다.

 

이번 조사는 갤럽이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하여 전국 만18세 이상 1,003명에 대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표본오차 :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 15.5%(총 통화 6,490명 중 1,003명 응답 완료)다.



배너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환영선물로 류재춘 대표작 '월하' 증정
글로벌 한류 콘텐츠와 아랍 교류의 상징의 장인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이 12일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에서 열렸다. 고양문화재단과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공동주최한 이날 공연에는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의 아름다운 음성과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자 윌슨 응)의 웅장한 사운드가 관객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2008년 창단했다. 특히, 이날 공연에서는 카타르 작곡가 나사르 사힘과 다나 알 파르단의 작품이 큰 호응을 얻었다. 공연에서 본인의 작품을 관객들에게 선보인 카타르 작곡가 나사르 사힘은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카타르의 전통과 서양 클래식의 조화를 보여주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우리 음악이 전 세계 관객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 환영 리셉션에서는 한국의 대표 화가로 꼽히는 류재춘 작가의 대표작 '월하(月下)'가 환영선물로 증정되며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끌어 올렸다. 류 작가의 대표작 '월하'는 커다란 달과 짙은 보라와 청색빛의 먹칠이 화면을 가득채운 작품으로 지난 2023년 LED 조명을 넣어 전시해 전통과 ICT(정보통신기술)가 결합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