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23.7℃
  • 구름조금강릉 24.2℃
  • 구름조금서울 25.1℃
  • 구름조금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27.1℃
  • 구름많음울산 26.5℃
  • 구름많음광주 26.1℃
  • 흐림부산 23.6℃
  • 구름많음고창 24.6℃
  • 흐림제주 23.0℃
  • 구름조금강화 24.3℃
  • 구름많음보은 26.0℃
  • 구름많음금산 25.9℃
  • 흐림강진군 27.1℃
  • 구름많음경주시 28.1℃
  • 흐림거제 23.3℃
기상청 제공

사회


합성 니코틴 담배 건강에는? ...전문가 "궐련 담배 이상으로 경계할 필요 있어"

정부가 합성 니코틴을 '담배'로 규제하기 위해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한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당국인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는 담배사업법의 '담배'의 정의에 합성 니코틴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법에 따르면 담배는 담배사업법 2조의 '연초(煙草)의 잎을 원료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하여 피우거나, 빨거나, 증기로 흡입하거나, 씹거나, 냄새 맡기에 적합한 상태로 제조한 것'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합성 니코틴 전자담배의 액상은 담배로 규정되지 않는다.

 

경고 그림이나 유해 문구 표기 등 관리 대상도 아니고, 청소년에게 판매해도 처벌받지 않는다. 담배소비세 등 제세부담금 역시 부과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각지대 때문에 글로벌 담배회사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그룹은 최근 합성 니코틴 액상형 전자담배 신제품을 국내에 출시할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가 합성 니코틴 액상형 전자담배 출시를 검토하는 곳은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BAT의 이런 계획이 알려지면서 합성 니코틴이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사실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복지부와 기재부는 최근 여러 차례 회의를 열고 담배사업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 22대 국회에서 법 개정 추진 

 

정부는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의원입법 방식으로 법 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관련 법안으로는 21대 국회에서 최혜영(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개정안이 있다. 이 개정안은 담배의 정의를 '연초나 니코틴을 원료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제조한 것'으로 바꿔 연초의 잎 이외 부분을 원료로 하는 경우나 합성 니코틴을 원료로 하는 경우를 담배로 규제하고 과세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해당법안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경제재정소위에서 논의됐으나 통과되지는 못했다.

 

신종 담배인 전자담배는 액상형과 궐련형으로 나뉘는데, 이 중 액상형이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액상형 전자담배는 니코틴 용액과 희석제(PG·VG 등), 첨가물 등이 섞인 액상을 기화시켜 흡입하는 방식이다.

 

◇ 합성 니코틴 유해하지 않다고? 

 

담배회사들은 젊은 층이 좋아할 디자인에 향을 더한 액상형 전자담배로 젊은층과 청소년들을 공략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담배회사들이 '천연 니코틴으로 만든 담배라서 몸에 덜 나쁘다'는 식의 홍보나 '합성 니코틴을 사용해 유해하지 않다'는 식의 광고를 한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학계는 "니코틴이 들어간 만큼 어떤 경우도 몸에 무해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특히 연소 시 니코틴 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궐련 담배 이상으로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임민경 인하대 의대 교수는 "니코틴이 들어가면 모두 담배"라며 "신종 담배 제품이 건강에 덜 해롭다는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은 실험이나 통계로 입증이 됐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삼청교육 피해자들 "5공 군홧발에 짓밟힌 아픔, 국가가 책임져라"
삼청교육 피해자와 유족들이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에 과거사를 바로잡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삼청교육피해자유족회는 25일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삼청교육 피해자가 약 4만명에 달하지만 진실규명을 맡고 있는 진실화해위가 피해자 신청 기간이 끝났다는 이유로 구제 방안을 찾고 있지 않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강력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삼청교육대 부활'이라는 말도 떠도는데,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국가가 나서서 사과하고 모든 일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수미 삼청교육피해자 유족회 공동대표는 "삼청교육 피해자들의 피해는 국가기관으로부터 정해져야 한다"며 "진실화해위는 국가폭력 피해자들이 거리로 나와 주장하기에 앞서 먼저 (진실규명에) 앞장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도 "삼청교육대는 과거 군사독재 아래서 발생한 국가권력을 이용한 대규모 인권유린 사건"이라며 "피해자와 유가족들이 고통의 길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국가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고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김광동 진실화해위 위원장에 대해서도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