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6.8℃
  • 흐림강릉 11.3℃
  • 박무서울 10.7℃
  • 박무대전 10.3℃
  • 박무대구 10.1℃
  • 박무울산 12.4℃
  • 박무광주 12.6℃
  • 흐림부산 16.7℃
  • 맑음고창 10.3℃
  • 맑음제주 19.6℃
  • 구름많음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7.4℃
  • 구름많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12.5℃
  • 구름많음경주시 9.8℃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경인뉴스


미국 유력 일간지 보스턴글로브, 성남시 ‘솔로몬의 선택’ 집중 조명

팟캐스트와 기사로 신상진 성남시장 인터뷰 실으며 자세히 보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지역의 최고 권위지 보스턴글로브(The Boston Globe)가 미국 현지 시간 14일, 성남시(시장 신상진)의 미혼 청춘남녀 만남 행사인 ‘솔로몬(SOLO MON)의 선택’을 팟캐스트와 기사로 집중 조명했다.

 

성남시는 보스턴글로브 연애 칼럼니스트인 메러디스 골드스타인(Meredith Goldstein)의 진행으로 사랑과 연애를 주제로 다루는 인기 팟캐스트 ‘러브레터즈(Love Letters)’가 ‘사랑의 도시(City of Love)’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를 게재했다(https://www.boston.com/city-of-love)고 17일 밝혔다.

 

총 28분 분량의 에피소드에서 골드스타인은 성남시를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소개하며 신상진 성남시장, 일반 시민 인터뷰 등을 통해 한국의 저출산 문제의 현주소와 성남시의 ‘솔로몬의 선택’ 정책을 상세히 설명했다.

 

지난 3월 화상으로 인터뷰에 응한 신 시장은 “저출산 문제가 워낙 심각해 20년 전부터 정부와 국회의원들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한 실정”이라며 “사업 초기에는 왜 시가 중매 역할을 해야 하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었지만 결혼에 대한 젊은이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사업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혼을 하고 싶은 청년들도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결혼을 미루게 되면서 나이가 점점 드는 실정”이라며 “결혼 적령기에 있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이면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골드스타인은 성남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일반인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솔로몬의 선택 행사에 참여한 생생한 후기와 소감을 소개했다.

 

지난해 9월 ‘솔로몬의 선택’ 3차 행사에 참석한 임태범 씨는 “결혼 여부, 근무지, 나이 등 모든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었다”며 결혼을 원하는 이들에게 행사 참여를 권유했는데, 이는 “경험이 많을수록 믿음이 생기고,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생기고, 그러면 커플이 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보스턴글로브는 팟캐스트와는 별도로 ‘시민 여러분, 사랑에 빠지세요. 제발’(Dear city residents: Fall in love. Please)이라는 기사를 통해서도 팟캐스트에 담은 성남시와 ‘솔로몬의 선택’ 행사 내용을 다뤘다.

 

1872년 창간된 보스턴글로브는 퓰리쳐상을 27번 수상한 미국 보스턴 지역의 대표적 일간지이자 최고 권위지이다.

 

한편, 성남시는 올해 첫 솔로몬의 선택 행사를 5월 18일 탭퍼블릭 판교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