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27.2℃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27.4℃
  • 구름조금대전 27.8℃
  • 맑음대구 28.4℃
  • 맑음울산 28.6℃
  • 맑음광주 27.8℃
  • 맑음부산 29.2℃
  • 맑음고창 27.4℃
  • 구름많음제주 26.7℃
  • 맑음강화 25.6℃
  • 맑음보은 26.0℃
  • 맑음금산 27.4℃
  • 구름많음강진군 28.8℃
  • 맑음경주시 29.9℃
  • 맑음거제 28.4℃
기상청 제공

사회


첫 노조 파업 선언 삼성전자, '노노갈등' 확산

삼성전자의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사상 첫 파업 선언을 한 가운데 삼성 4개 계열사 노동조합을 아우르는 통합 노동조합인 ‘삼성그룹 초기업 노동조합’이 전삼노의 비위를 주장하는 글을 올리는 등 노노갈등이 확산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초기업노조 삼성전자 DX지부장 A씨는 전날 밤 삼성전자 사내 게시판에 'DX지부에서 전삼노의 비위 행위를 알립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A 지부장은 글에서 ▲민주노총 금속노조 간부의 전삼노 조합원 활동 ▲전삼노 집행부의 다중계정 사용 ▲조합원 숫자 부풀리기를 통한 근로시간 면제자 조작 등의 의혹을 주장하면서 녹취록 등을 함께 공개했다.

 

전삼노가 2020년 노조 홈페이지를 개설하면서 조합원 수를 부풀리고, 근로면제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비노조원인 일반 직원의 사내 계정 정보를 도용해 허위로 조합원 등록을 했다는 것이 A 지부장의 주장이다.

 

삼성전자 노사는 2022년 단체협약에서 전삼노 조합원이 4천명 이상이라는 주장에 따라 1만5천시간 이상의 근로시간면제를 부여했으며, 현재 전삼노에서는 위원장, 부위원장 등 총 8명이 풀타임으로 근로시간을 면제받고 있다.

 

현재 A 지부장의 글은 직장인 익명 앱인 블라인드 등을 통해 확산되면서 전삼노의 첫 파업 선언 전후로 노노갈등은 증폭되는 분위기다.

 

파업 선언 당일에는 초기업노조가 입장문을 내고 "직원들의 근로조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상급단체(민주노총) 가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블라인드 등에서 노사협의회 근로자 위원에 출마한 전삼노 집행부가 경쟁 후보에게 사퇴를 종용하며 그 대가로 지부장직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전삼노는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블라인드에는 징검다리 연휴를 맞아 이미 6월 7일 연차 사용 계획을 제출했으나 노조 연가 투쟁 때문에 휴가 계획을 취소할지를 고민하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

 

전삼노는 앞서 임금협상을 위한 사측과의 본교섭 파행 하루 만인 지난달 29일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을 선언했으며, 조합원들에게 오는 7일 하루 연차를 소진하라는 지침을 전달한 상태다.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 숙박 농성도 진행 중이다.

 

전삼노에 따르면 조합원 수는 3일 기준 2만8천387명이다.

 

실제로 연가 투쟁에 참여할 조합원 숫자는 파악되지 않았다. 전삼노는 현재 조합원을 상대로 연차 파업 동참에 대한 설문 조사 중이다.

 

전삼노 측은 "회사와의 대화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7일 이후 사측의 대응 등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윤대통령 장모 최은순씨, 27억원 과징금 취소 2심도 패소
윤석열 대통령 장모 최은순(77) 씨가 경기 성남시 도촌동 부동산 매입과 관련해 성남시 중원구청이 부과한 27억원대 과징금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소송 항소심에서도 패소했다. 수원고법 행정1부(노경필 차지원 이봉락 고법판사)는 14일 최씨가 중원구청장을 상대로 제기한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 패소 판결을 한 1심을 유지했다. 앞서 성남시 중원구는 2020년 6월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한 이유로 최씨와 동업자 A에게 각각 과징금 27억3천여만원을 부과했다. 이에 최씨는 "문제의 부동산 실소유자는 다른 사람이고, 원고는 이들에게 명의신탁하지 않았다"며 "위법한 처분"이라고 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심 재판부는 "원고는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해 도촌동 부동산을 A씨 등에게 명의 신탁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이를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된다"고 판시했다. 또 "원고가 주장하는 사정들을 모두 참작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으로 달성하려는 공익에 비춰 원고가 받을 불이익이 중하다가 볼 수 없으므로 피고가 이 사건 처분을 한 것에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