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멸종위기 수달, 한 해 211마리 ‘로드킬’

이용우 “사고다발구간과 국립공원에 생태통로 확충해야”
로드킬 매년 증가해 2023년 7만9279건 발생...하루 217건 발생

 

지난해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가 7만9279건 발생해 전년보다 23.8%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로드킬 사고도 증가 추세라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로드킬 사고는 7만9279건으로 전년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용우 의원은 “하루에 217건씩 일어난 셈”이라면서 “로드킬 사고는 ▲2020년 1만5107건 ▲2021년 3만7261건 ▲2022년 6만3989건 발생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중에는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등 법정보호종의 로드킬 건수도 다수 포함돼 있다. 지난해 발생한 법정보호종 로드킬 사고는 870건으로 전년(279건) 대비 늘었다”며 “천연기념물은 22건이었고 멸종위기 2급인 삵이 480건으로 가장 많았다. 멸종위기 1급인 수달도 211건에 달했다”고 우려했다.

 

또, 국립공원공단에 보호를 받는 야생동물도 매년 약 200마리 씩 로드킬로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이 국립공원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 21개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로드킬 사고로 죽은 동물은 568마리다.

 

그는 “국립공원별 로드킬 건수를 보면 지리산 국립공원이 133건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했다”며 “한려해상 국립공원은 105건, 소백산 국립공원과 설악산 국립공원은 각각 55건, 50건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립공원은 개발사업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하고 야생동물의 이동을 돕기 위해 생태통로를 두고 있다”면서 “전국 21개 국립공원 중 생태통로가 설치된 공원은 8곳에 불과하며 추가 설치 계획도 지리산 국립공원 1건뿐”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가 매년 증가 추세라는 것은 소관 부처의 관리가 미흡하다는 방증”이라며 “사고다발구간과 국립공원에 생태통로를 확충하고 인공지능 예방시스템 등 저감시설을 더 많이 설치해야한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박주민·김우영 “은평제일교회 ‘모스 탄’ 초청 토론회 취소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주민·김우영 의원과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17일 “은평제일교회 ‘모스 탄’ 초청 토론회 취소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서울시 오세훈 시장이 모스 탄을 강연자로 초청했다가 거센 반발에 부딪혀 결국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며 “이 과정에서 시민의 세금이 낭비됐고 정책 신뢰도 역시 실추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서울대학교 역시 처음에는 강연을 위한 공간 대관을 승인했지만, 이후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대관 자체를 취소한 바 있다”며 “이는 그간 모스 탄이 보여온 행적이 사회적으로 매우 부적절하며 공공기관이나 교육기관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인물임을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오는 7월 17일 오후 2시, 은평제일교회에서는 모스 탄을 초청한 토론회를 강행할 계획이다. 모스 탄은 우리 사회에 근거 없는 부정선거론과 대통령 범죄 연루설 등 명백히 허위로 밝혀진 가짜뉴스를 지속적으로 유포해 온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통령과 관련된 허위 의혹은 이미 3년 전 경찰청과 법무부 수사를 통해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고, 해당 내용을 유포한 사람들 또한 형사처벌을 받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