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0.7℃
  • 맑음강릉 11.7℃
  • 구름조금서울 11.1℃
  • 구름조금대전 11.9℃
  • 맑음대구 11.7℃
  • 맑음울산 12.4℃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3.7℃
  • 맑음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1.5℃
  • 구름조금강화 9.6℃
  • 맑음보은 11.6℃
  • 맑음금산 12.4℃
  • 구름조금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9℃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응급환자 ‘뺑뺑이’ 심각한데…내년 ‘빅5’ 병원 전공의 지원자 한자릿수

지원자 극감·전공의 비중 40→5%…‘의료대란’ 장기화
비상계엄 사태때 ‘미복귀 전공의 처단’ 지원율 더 떨어져

 

12·3 비상 계엄 포고령에 포함된 ‘미복귀 전공의 처단’이 의료계 반발에 기름을 부으면서 의료 대란 사태가 장기화를 될 전망인 가운데, 의료 현장은 버티기 힘든 상황까지 이르렀다.

 

무엇보다 내년 3월 수련을 시작하는 전공의(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 ‘빅5 병원들(서울성모·삼성서울·서울아산·세브란스·서울대병원)’조차 지원자가 소수에 그치면서 의료 공백이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0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176개 수련병원이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총 3594명의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를 모집한 결과 지원자 수는 314명(8.7%)으로, 대부분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의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수련병원인 ‘빅5’ 도 68명(8.7%)으로, 병원별로 10명 남짓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금의 의료현장은 응급실이 응급실이 아니다. 평일 강남세브란스병원 응급실에 전문의 한명이 수십명의 환자를 시간 단위로 진료하고 있다. 서울삼성병원의 경우 자체적으로 경미하다고 판단되는 환자는 아예 진료를 거부하는 지경에 이르뤘다.

 

입원을 위해서는 장기 대기가 기본이다. 위중한 환자를 대형병원을 찾다가 입원이 불가능해 2차 병원을 전전하다 병증을 키우거나 목숨을 잃기도 한다. 

 

지난 2월 의대 증원 정책 등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 이후 전국 211개 병원에서 수련 중이던 인턴 3068명 중 102명(3.3%)만 현재 수련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12·3 비상 계엄 포고령에 ‘미복귀 전공의 처단’이라는 과격한 표현이 쓰이면서 지원율을 더욱 떨어트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병원 관계자는 “탄핵 정국에 빠지면서 의료계의 협상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이번 모집 때 지원하려고 했던 이들도 이제는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로 차후 진행될 인턴 모집과 레지던트 상급년차(2~4년차) 모집에서도 상황이 바뀌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빅5 병원 중 전공의 비율이 가장 높은 서울대병원은 작년 46.2%에서 올해 7.5%로 감소했다. 삼성서울병원은 38.0%에서 5.2%로, 세브란스병원 40.2%에서 5.1%로, 서울아산병원 34.5%에서 3.2%로 서울성모병원 33.5%에서 6.4%로 모두 한자릿 수를 보이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시민단체들 '尹 탄핵' 대환영..."이제 검찰, 극우 내란세력 척결"
"사필귀정(事必歸正)이요, 사불범정(邪不犯正)이다." 헌법재판소가 마침내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파면을 선고를 하자 한국노총을 비롯한 경실련, 참여연대, 공무원연맹 등 공공단체 노조 및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는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국민과 함께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한 이번 결정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원칙을 확인하는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했다. 공무원연맹은 "공무원 노동운동을 대표하는 조직으로서 한국노총과 함께 이번 사태를 국가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혁과 공직사회 발전의 계기로 삼을 것을 다짐하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공직자로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에 국민과 함께 앞장서 나갈 것이다"고 다짐했다. 참여연대 역시 "윤석열 파면은 내란의 완전한 종식과 민주주의 회복으로 가는 첫걸음이다.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은 일부 판사와 검찰의 협잡과 합작으로 석방된 상태다"며 "검찰과 법원은 윤석열을 재구속하고 처벌하여 법과 정의를 바로 세우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남아 있는 내란 세력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처벌도 뒤따라야 한다. "고 말했다. 나아가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