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소상공인 40%, 창업 3년 이내 폐업…평균 부채 1억원

 

폐업한 소상공인의 40%가 창업 3년 이내에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폐업 소상공인의 재취업 및 재창업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폐업 소상공인의 평균 영업 기간은 6.5년이며, 3년 미만의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로 조사됐다.

 

폐업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익성 악화 및 매출 부진(86.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도 개인 사정(28.7%), 신규 사업 준비(26.0%), 임대 기간 만료 및 행정처분(21.8%) 등이 있었다.

 

특히 매출 부진의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52.2%), 인건비 상승(49.4%), 원재료비 증가(46.0%), 임대료 상승(44.6%) 등이 꼽혔다.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배달앱·숙박앱 등의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 및 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 대비 높게 나타나, 소상공인들이 플랫폼 비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의 평균 부채액은 1억236만원이었으며, 폐업 비용은 평균 2188만원에 달했다. 세부 내역별로는 철거비(518만원), 원상복구 비용(379만원), 종업원 퇴직금(563만원), 세금(420만원) 등이 포함됐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평균 부채액은 1억4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보다 1.5배 높았으며, 평균 폐업 비용도 제조업(3859만원)이 숙박·음식점업(1219만원)보다 3배 이상 많았다.

 

폐업 과정에서 소상공인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은 부분은 폐업 후 생계 유지 방안 마련(31.1%), 권리금 회수 및 업체 양도(24.3%), 대출금 상환(22.9%) 등이었다. 한편, 노란우산 공제금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71.1%였으며, 58.9%는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폐업 시 정부 지원제도(희망리턴패키지, 새출발기금 등)를 활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78.2%에 달했으며, 그 이유로는 정부 지원 내용을 알지 못해서(66.9%), 신청 방법과 요건이 까다로워서(21.4%)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 지원 제도의 홍보 강화 및 신청 절차 간소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할 지원 정책으로는 대출금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52.6%), 폐업 비용 지원(51.0%), 폐업 이후 진로 지원(46.6%), 자영업자 고용보험 및 노란우산 공제 확대(22.8%) 등이 조사됐다.

 

또한 소상공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장기대출 상품 전환 및 이자 감면(63.9%), 임대료·전기료 등 고정비용 경감(51.0%), 폐업 시 재기 지원(44.4%), 빈 점포 발생 방지를 위한 지역 상권 활성화(30.5%) 등이 꼽혔다.

 

폐업 후 재창업을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9.3%는 동일한 소득 수준이 보장된다면 취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폐업 이후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전직 장려금 확대(36.4%), 양질의 지역 일자리 확보(27.2%), 취업 알선 및 안내 강화(21.2%) 등이 조사됐다. 반면, 성공적인 재창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재창업 자금 지원(44.5%), 채무 조정(22.9%), 내수 활성화 정책(17.4%) 등이 요구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