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학영·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 전국택배노동조합은 24일 “노동자와 협의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진택배의 주 7일 배송 추진은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진택배가 주 7일 배송을 시작한다고 지적했다.
강득구 의원은 “주 7일 배송 시행 6개월 전부터 노조와의 협의를 시작한 CJ 대한통운과 달리 한진택배는 노조와 아무런 소통도 없이 주 7일 배송을 시작한다”며 “이대로라면 주 7일 배송은 또다시 택배노동자를 과로위험에 노출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 의원은 “2021년 체결된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 사회적 합의에는 주 5일제를 시범실시하도록 명시되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노동조건을 악화시키는, 퇴행적 행태는 지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를 위한다는 혁신은 일하는 사람을 고려하며 진행할 때 그 의미가 있다”며 “한진택배는 택배노동자의 휴식권과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주 7일 배송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로켓배송으로 빠르게 성장한 쿠팡을 시작으로, 네이버 등에서도 최근 당일배송과 휴일배송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이에 기존 택배회사 역시 주7일 배송을 검토,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미 CJ대한통운이 올해 1월부터 주 7일 배송을 시작했고 한진택배도 27일부터 수도권 중심으로 주 7일 배송을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면서 “문제는 인력과 근무제도 등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택배사가 주7일 배송을 시작한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CJ대한통운의 경우, 시행 6개월 전부터 노조와의 협의를 시작해 지금까지도 협의를 지속하며 관련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서도 “한진택배는 이러한 과정을 모두 생략한 채, 시행을 강행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실제 일선 대리점에서는 택배노동자들에게 조편성을 요구하고. 불참할 경우 ▲해고 ▲구역조정 ▲페널티 부과 등을 거론하며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는 제보까지 있다”고 토로했다.
택배노조는 “주 7일 배송은 택배노동자의 노동시간을 늘리고 노동강도를 강화해 또다시 과로 위험에 노출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면서 “이미 현장에서는 ‘2인 1조, 주 6일 근무, 주 7일 근무’가 횡행하고. 심지어 한 달 동안 하루도 못 쉬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2021년 체결된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 사회적 합의’에는 주 5일제를 시범실시하고 이를 논의하기로 명시돼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도 ‘주 4일 근무’ 도입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상황에서 택배현장의 주 6일 근무를 주 5일 근무로 줄이기는커녕 노동조건을 악화시키는 퇴행적 행태는 지양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한진택배를 향해 “노조와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택배노동자의 휴식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면서 “이를 통해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택배노동자들의 과로를 방지해야 한다. 일방적 주 7일배송 추진은 현장의 갈등과 안전문제를 야기할 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