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결핵환자수, OECD 국가 중 1위

우리나라 신규 결핵환자수가 인구 10만명당 100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하며 후진국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신규 결핵환자 수는 2003년까지 3만1,000명 이하로 떨어졌지만, 이후 다시 증가해 2005년부터 최근까지 3만4,000~3만9,0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인구 10만명당 100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다. 이는 22명인 일본의 4.5배 수준이며 12.7명인 OECD평균에 비하면 8배다. 결핵으로 사망한 사람도 OECD국가 중 1위다.

2013년 기준 10만명당 4.4명으로 OECD 평균인 1.9명보다 2배 이상 많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체 결핵환자의 30% 정도가 20~30대로다.

결핵은 제3군 법정 전염병으로, 결핵의 전염은 폐결핵 환자가 기침할 때 가래에 결핵균이 공기 중에 떠나가다가 다른 사람의 폐에 들어가면서 발생한다.

폐결핵을 익숙하게 알고 있지만 결핵은 우리 몸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는 전신 질환이다. 폐결핵 외에 결핵이 주로 생기는 곳은 흉막, 임파선, 뇌, 척추, 관절, 신장, 간, 대장, 복막 및 생식기 등으로 발병한 부위에 따라 증상도 진단법도 다르다.

 

결핵균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충분한 영양섭취와 정기적인 운동 등으로 면역력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결핵약을 복용한 지 2주가 되지 않은 환자와의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