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요가레깅스 9종 기능성 평가…젝시믹스·STL 이염 우려

땀 흡수 ‘리복’·‘아디다스’ 우수…건조 속도 ‘데상트’·‘뮬라웨어’ 우수

 

사단법인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총 9개 브랜드 9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땀 흡수 및 건조 속도, 이염 등 기능성과 품질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비교 대상 제품은 ▲나이키(BV5716-010) ▲뉴발란스(NBNS94W322-00) ▲데상트(S9322YKL72) ▲리복(EB8098) ▲아디다스(MIFSA002 SB210) ▲STL(LG001) ▲뮬라웨어(MLP_0914) ▲안다르(AIWL-10906) ▲젝시믹스(XP9108E) 등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염색성 평가에서 젝시믹스와 STL 제품은 다른 제품과의 마찰에 의한 이염 등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한국소비자원)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대해 STL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레깅스 원단을 업그레이드해 제품의 전체적인 품질을 개선했다고 해명했다.

 

기능성과 관련해서는 땀을 얼마나 빠르게 흡수하는가와 젖은 제품이 얼마나 빠르게 건조되는가를 평가했는데, 흡수 속도에서는 ▲리복과 ▲아디다스가 우수했고, ▲나이키 ▲뉴발란스 ▲젝시믹스 ▲뮬라웨어는 양호, ▲데상트 ▲안다르 ▲STL은 보통이었다.

 

건조 속도는 ▲데상트와 ▲뮬라웨어가 우수, ▲나이키 ▲뉴발란스 ▲리복 ▲안다르 ▲젝시믹스 ▲STL이 양호, ▲아디다스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흡수 속도는 10회 세탁 후 시험이 진행됐고, 건조 속도는 물에 적신 후 건조되는 속도를 측정했다.

 

품질표시사항에서는 ▲뉴발란스 ▲뮬라웨어 ▲안다르 ▲젝시믹스 ▲STL이 관련 규정에 부적합했다.

 

해당 브랜드 업체는 부적합 표시 부분에 대해 이미 개선했거나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동일한 치수로 표기된 제품이라도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었다.

 

M으로 표기한 6개 제품(나이키, 뉴발란스, 데상트, 리복, 아디다스, STL)은 허리 길이가 최소 27cm(STL)에서 최대 35.5cm(리복, 아디다스) 등 8.5cm 차이가 났다.

 

55반~66으로 표기한 제품(뮬라웨어, 안다르, 젝시믹스)의 경우 허리길이가 24cm(뮬라웨어)에서 27cm(젝시믹스)로 3cm 차이가 있었다.

 

이밖에 세탁에 의한 변색이나 수축 정도 등을 평가하는 완제품 내세탁성은 모든 제품이 섬유제품 권장품질기준을 만족했고, 내구성(신장회복률, 표면변화, 파열강도, 마모강도), 안전성(유해물질) 역시 모든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