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하려면?

 

 

 

식약처가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과 음식물 관리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의 발생 현황을 보면, 총 195건8,881명의 환자 중 여름철(6~8월)에만 114건(58%) 6,357명(72%)의 환자가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학교[5,424명(61%)]가 가장 많았고 기업체 등의 집단급식소[1,744명(20%)], 음식점[865명(10%)]순 이었다.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식품은 채소류[3,034명(67%)], 복합조리식품(도시락 등)[457명(10%)], 육류[202명(4%)], 어패류[175명(4%)]순이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육류로 음식을 준비할 때 도마나 칼 등을 구분해 사용하고, 조리할 때는 육류를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특히 다짐육은 속까지 완전히 익혀서 먹어야 한다. 또 가열‧조리한 음식은 가능한 2시간 내 빨리 먹고, 가열 후 바로 먹을 수 없는 경우는 식혀서 바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채소류는 세척과정에서 미세한 흠집이 생겨 세척 전보다 식중독균이 서식하기 더 쉬운 조건이 되므로 세척 후에는 바로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해야 한다.

 

식약처는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덥고 국지성 비가 많이 올 것이라는 기상 예보에 따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인 ①손씻기, ②익혀먹기, ③끓여먹기, ④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⑤세척·소독하기, ⑥보관온도 지키기 실천을 강조하면서 특히 대량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급식소 등에서는 식재료의 세척, 보관, 조리에 각별히 주의하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세가 있는 조리종사자는 증상이 없어진 후에도 최소 2~3일까지는 조리하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학교‧기업체 등의 집단급식소와 가정에서 식중독 의심 증상자가 발생하면 증상자를 신속하게 별도 공간에 분리해 집단이나 가정 내 전파를 방지하고, 시‧군‧구보건소에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관련 Q&A  

 

Q1. 병원성대장균은 어떤 균인가요?

 

A. 병원성대장균은 동물의 장 내에 서식하는 대장균 가운데 일부 대장이나 소장 세포에 침입하거나 독소를 생성하여 병원성을 나타내는 균을 말합니다.

 

발병 특성, 독소의 종류 등에 따라

① 장출혈성대장균(EHEC, Enterohemorrhagic E. coli)

② 장병원성대장균(EPEC, Enteropathogenic E. coli)

③ 장침입성대장균(EIEC, Enteroinvasive E. coli)

④ 장독소성대장균(ETEC, Enterotoxigenic E. coli)

⑤ 장흡착성대장균(EAEC, Enteroaggregative E. coli) 등으로 구분됩니다.

 

Q2. 병원성대장균의 오염경로는?

 

A. 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식품, 도축과정에서 오염된 육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분변, 축산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 강물 등을 정수하지 않고 농업용수로 사용해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습니다.

 

Q3.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의 증상은?

 

A.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걸리면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원성대장균의 한 종류인 장출혈성대장균 O157: H7의 경우 출혈성 대장염(피가 섞인 설사), 용혈성 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등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장출혈성대장균 O157: H7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임상증상은 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증, 신장 손상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 등이다.

 

Q4.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법은 무엇인가요?

 

A. ① 조리자는 조리 전·후에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깨끗하게 씻기

② 육류 조리 시에는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중심온도 75℃ 1분 이상)

③ 지하수는 끓여서 마시기

④ 육류·가금류·달걀 및 수산물은 칼과 도마를 구분해 사용하고, 구분 사용이 어려운 경우는 그대로 먹는 식품 > 채소 > 육류 > 수산물 > 가금육(닭, 오리) 순서로 사용하고 각 재료가 서로 닿지 않도록 주의

⑤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100ppm*) 등에 5분 이상 담가 두었다가 깨끗한 물에 3회 이상 세척 후 절단(100ppm: 4% 농도 염소 소독액의 약 400배 희석액 : 소독제 0.1ℓ(반컵) + 물 40ℓ(200컵)

⑥ 세척한 채소류는 즉시 조리에 사용하고, 바로 조리나 섭취하지 않는 경우 냉장 보관, ⑦ 가열·조리한 음식은 상온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빨리 섭취(2시간 이내)

 

Q5. 집단식중독 의심 환자 발생 시 조치는?

 

A. ① 설사, 복통, 구토 등 식중독 의심 증상자 발생 시 집단내 전파 방지를 위해 증상자를 신속하게 분리(별도 공간)하고 병원 진료

② 관할 시·군·구(보건소) 신고 후 현장 보존

③ 원인·역학조사반 지시에 따라 인체 가검물, 보존 식품 채취 등에 협조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