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7.4℃
  • 맑음서울 17.0℃
  • 박무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6.6℃
  • 구름많음울산 19.0℃
  • 연무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20.4℃
  • 맑음고창 20.6℃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16.8℃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6.0℃
  • 맑음강진군 20.6℃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정치


尹 "오월정신, 보편적 가치 회복·자유민주주의 헌법정신 그 자체"

직접 고쳐쓴 5.18 기념사...연설문 유출에 '보안사고' 논란도

 

윤석열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오월정신은 보편적 가치의 회복이고 자유 민주주의 헌법정신 그 자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8일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국가 기념식에 참석해 “우리는 42년 전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피로서 지켜낸 오월의 항거를 기억하고 있다. 우리는 그날의 아픔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이 땅의 자유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5월의) 정신은 우리 모두의 것이고 대한민국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5월의 정신은 지금도 자유와 인권을 위협하는 일체의 불법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할 것을 우리에게 명령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5.18민주화 운동을 “현재도 진행중인 살아있는 역사”라며 “이를 책임있게 계승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후손과 나라의 번영을 위한 출발”이라고 말했다.

 

또한 “5월 정신이 담고있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가 세계 속으로 널리 퍼져나가게 해야한다. 모두가 보편적 가치를 당당하게 누릴 수 있어야한다”며 “자유와 인권의 가치를 지키고 확대해나갈 책임은 온전히 우리의 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광주와 호남이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 위에 담대한 경제적 성취를 꽃피워야한다”며 ai와 첨단 기술 기반의 산업 고도화를 주장했다. 이어 “새 정부는 민주영령들이 지켜낸 가치를 승화시켜 번영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광주와 호남은 역사의 고비마다 시대가 나아갈 길을 밝혀주는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며 “대한민국이 새로운 도약을 이뤄가는 여정에서도 광주와 호남이 앞장설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는 우리 국민을 하나로 묶는 통합의 철학이다. 그러므로 자유민주주의를 피로서 지켜낸 오월의 정신은 바로 국민통합의 주춧돌”이라며 “오월의 정신이 우리 국민을 단결하게하고 위기와 도전에서 우리를 지켜줄 것이라고 저는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통령실 관계자를 통해 일부 언론에 공개된 사실로는 오늘 행사에 사용된 기념사는 윤 대통령이 초안을 마친 이후 직접 수정하며 퇴고를 7차례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의 기념사 원고에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는 우리 국민을 하나로 묶는 통합의 철학”, “자유민주주의를 피로서 지켜낸 오월의 정신은 바로 국민통합의 주춧돌입니다” 등 연설에서 말한 내용을 파란색 펜으로 직접 쓴 흔적이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런 사실에 대해 ‘보안사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통상적으로 대통령의 연설문이나 기념문 등은 직접 발표하기 전까지 공개되지 않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