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7.4℃
  • 맑음서울 17.0℃
  • 박무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6.6℃
  • 구름많음울산 19.0℃
  • 연무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20.4℃
  • 맑음고창 20.6℃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16.8℃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6.0℃
  • 맑음강진군 20.6℃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정치


정부, 각 부처 공무원 매년 1%씩 감축 및 재배치

지자체, 향후 5년간 기준인력 현 수준 유지

 

행정안전부는 민생경제의 현 상황과 행정환경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5년간의 정부 인력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범정부 조직진단’ 실시, ‘통합활용정원제'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정부 인력운영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12일 밝혔다.

 

행안부는 이번 방안을 제출한 것에 대해 정부인력 증가에 따른 국가 재정 및 행정 비효율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윤석열 정부의 주요국정과제인 ‘유연하고 효율적인 정부체계 구축’을 구체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실시하기 위해 전 부처를 대상으로 기능·기구·인력 운영실태를 부처별 자체진단, 민·관합동 종합진단, 대규모 증원분야에 대한 심층진단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등 전면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행안부는 전면 점검을 통해 그동안 증가한 정부인력이 적재적소에 배치돼 국민이 원하는 정책과 서비스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제공하고 있는지 체계적·종합적으로 살펴 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조직 진단을 통해 부처별로 축소·쇠퇴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생기는 인력을 국정 주요과제 등 핵심분야에 재배치하는 등 정부조직 관리 전반에 활용할 것이며, 매년 각 부처 정원의 1%를 감축하고 이를 정부 전체의 인력풀(pool)로 관리·활용하는 제도인 ‘통합활용정원’으로 별도 관리해 주요국정과제와 협업과제 추진에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찰의 경우 경찰인력의 신규수요가 발생할 시 증원이 아닌 기존 인력의 조정·재배치를 우선 활용하고, 교원 또한 ‘중장기 교원수급 계획’에따라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총리와 장관에게 인사권을 부여하는 대신 성과에 대한 책임을 묻는 ‘책임장관제’ 구현, 기관별 국정과제 및 핵심 현안에 필요한 기구를 장관 재량으로 신설·운영하는 ‘장관 자율기구제’ 도입하는 등 각 부처의 조직운영에 있어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 또한 제시했다.

 

한편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향후 5년간 기준인력을 2022년 수준으로 유지하고, 신규 행정수요는 인력증원이 아닌 재배치로 우선 대응해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각 지자체는 이를 위해 지자체별로 민·관 합동 조직진단반을 구성하고 자체 조직진단을 통해 불필요한 기능·인력 발굴과 조직구조 개편을 진행할 계획이며, 중앙정부와 마찬가지로 정원의 1%를 매년 재배치해 지역발전을 위한 신규 증원수요, 민생·안전 현장서비스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정부 기능과 인력 운영현황을 스스로 되돌아보고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며 “체계적인 조직진단을 토대로 정부조직과 인력을 효율적이고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