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오피니언


5분의 법칙

 

2023년도 수학능력시험 만점자이자 전국수석을 차지한 권하은 양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를 롤 모델이라고 했다. 김연아 선수에게 무슨 생각하면서 스트레칭 하냐고 묻자 “그냥 한다”라고 대답하는 걸 보면서 “나도 그냥 공부하는 사람이 돼야겠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국민 MC 유재석도 한 프로그램에서 “어떤 큰 목표를 향해서 달려가는 스타일이 아니라, 그냥 하루하루 열심히 산다”고 말하는 걸 본 기억이 난다.

 

필자에게 상담하러 오는 내담자들도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늘 앞일을 미리 걱정하느라 어떤 일은 시작조차도 하기 어려운데 취미로 뜨개질을 시작하면서 그런 습관을 되돌아보게 됐다는 것이다. ‘언제 다 완성하지?’라는 생각을 내려놓고 아무 생각 없이 한 땀 한 땀에 집중하다 보니 어느새 목도리 하나가 완성돼 있더라는 것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거창한 대의명분이나 목표보다는 지금 이 순간에 집중했다는 점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뚜렷한 목표가 행동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멀고 큰 목표를 바라보는 게 오히려 부담감으로 다가오는 사람도 있다.

 

평소 ‘잘 하고 싶다’ 혹은 ‘잘해야 한다’는 마음이 크고, 칭찬에 목말라 하거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남들보다 크다면, 실제 이룰 수 있는 것보다 늘 높은 기준을 세운다면 대체로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무엇이든 ‘잘’ 해야 하고, 실패나 실수를 해서는 안 된다는 부담감 때문에 오히려 계획을 세우는 데만 지나치게 시간과 에너지를 쏟곤 한다. 그러다 막상 해야 할 일을 자꾸만 뒤로 미루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을 읽으면서 스스로 만약 그런 성향이라고 생각된다면 앞서 언급한 사람들처럼 ‘그냥 하기’의 방략을 써 볼 것을 권유한다.

 

그냥 한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우선 마음속에 있는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이나 마음가짐을 조금은 가볍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잘 하지 않아도 괜찮아’, ‘할 수 있는 만큼만 하자’ 등 부담감을 덜고 나에게 용기를 주는 말을 한 번쯤 해주는 게 도움이 된다.

 

심리학에서는 이처럼 사람들이 자기에게 자주 해주는 말을 ‘셀프 토크’라고 하며, 각 개인 안에 어떤 자기 암시와 자동적 사고들이 있는지 살펴보곤 한다. 상담을 하다보면 “잘 하지 못했으니(실패했으니, 실수했으니) 나는 무가치한 사람이야”, “나는 자격이 없어”, “이제 난 망했어”와 같은 셀프토크를 마주할 때가 많다.

 

속으로 이 말들을 한 번씩 되뇌어 보라. 기운이 나는가? 반대로 잘 하고 싶은 부담감이 들더라도 그 마음을 그냥 가볍게 알아차리고, ‘그럼 우선 눈앞에 있는 것부터 하자’라는 마음을 가져보면 어떤가? 후자가 훨씬 가뿐하게 몸을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이 나오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올해 독자들은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웠는가? 벌써 작심삼일이 되고 있지는 않은가? 그렇다면 우선 당장 눈앞에 있는 해야 할 일을 딱 5분만 해보기로 하자. 근육질 몸을 만들기로 했다면 딱 5분만 투자해서 운동복을 갈아입고 집을 나서는 것, 다이어트나 금주, 금연을 결심했다면 먹음직스러운 음식, 술, 담배 앞에서 5분 정도만 시간을 갖고 그 갈망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 성적을 올리고 성과를 내기로 했다면 우선 책과 일거리를 펼쳐놓고 5분 정도 워밍업을 하는 것. 그렇게 우선 시작해보길 바란다.

 

하다가 멈추어도 좋다. 한 걸음씩 가다 보면 어느새 자기 목표와 꿈 언저리에는 가 있을 테니까. 그런 한 해가 되기를 응원한다.

 

 ※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무관합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