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최근 5년 간 폭염으로 폐사된 가축 724만여 마리... "647억여원 지급"

 

최근 5년(2019~2024.8) 동안 폭염으로 인해 폐사된 가축 수가 724만732마리, 지급된 가축재해보험금은 총 647억7천1백만 원으로 확인됐다. 

 

2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폐사된 가축 종별로는 △닭이 607만 4,676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타(메추리, 소 등) 66만1,688마리, △돼지 32만 8,729마리, △오리 17만 5,639마리가 폐사됐다.

 

 

연도별로 폐사된 가축 수는 △2019년 289만 4,457마리, △2020년 69만 6,641마리, △2021년 89만 992마리, △2022년 78만 3,634마리, △2023년 92만 5,460마리, △2024년 104만 9,548마리였다.

 

특히 2019년도에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수는 정점을 찍고 2020년 들어 그 수가 대폭 줄었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여 올해 8월에는 이미 전년도 폐사 수를 앞질렀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140만 7,902마리로 폐사 수가 가장 컸다. 

 

이어 △전남 137만 5,773마리, △충남 131만 1,660마리, △경기 97만 296마리, △충북 88만 8,041마리, △경남 56만 8,780마리, △경북 47만 1,643마리, △강원 20만 1,666마리, △제주 1만 4,998마리, △세종 1만 1,338마리, △인천 1만 1,233마리, △대구 5,216마리, △울산 1,487마리, △광주 505마리, △부산 194마리 순이었다.

 

동 기간 축종별 지급된 가축재해보험금액을 살펴보면, △돼지가 511억 3천6백만원이 지급되어 보험금액이 가장 컸다. 이어 △닭은 124억 9천6백만원, △오리는 5억 7천1백만원, △기타(메추리, 소 등)는 5억 7천만원이 폭염으로 인한 가축재해보험금으로 지급됐다.

 

정희용 의원은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연일 지속되고 있다”라며, “농식품부와 지자체는 서로 긴밀히 협력하여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축·농작물·농업인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상기후가 물가를 끌어올린다는 한국은행의 보고서 발표로 많은 국민분들이 다가오는 추석 밥상 물가에 불안을 느끼고 있다”며 “이상기후로 인한 가축과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