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4인가족 김장 비용 평균 42만원…작년보다 20% 더 든다

배추 소매가격 1년 전 가격보다 61.1% 비싸 수준
물가협회 "11월 중순이후 소비자 부담 줄어들 것"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 강세에 따라 올해 김장 비용이 작년보다 약 20% 더 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협회는 김장철을 앞두고 주요 재료 15품목에 대하여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김장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 기준 전국 평균 41만9,130원으로 전년 대비 19.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재료인 배추와 무 가격이 전년보다 60% 이상 오르면서 전체 비용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배추 가격이 2주전보다 약 20% 하락해 빠르게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소비자의 부담은 다소 경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배추, 무 등 주요 재료의 가격 강세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배추 소매가격은 포기당 평균 7,050원으로, 협회의 11월 전망치인 5,300원보다 비쌌다. 이는 1년 전 가격과 비교하면 61.1% 높은 수준이다. 무와 미나리 소매가격도 1년 전보다 각각 65.9%, 94.5% 올랐다.

 

김장재료를 살 경우 4인 가족 기준 비용은 전통시장 41만9,130원, 대형마트 52만1,440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9.6%, 20.5% 상승하면서 유사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배추는 전통시장이 포기당 평균 7,050원으로 대형마트 7,710원보다 8.6% 가량 낮았으며, 무 가격도 18.7%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념채소류인 대파와 생강 소매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29.9%, 21.9% 떨어졌고 고춧가루 가격은 7.0% 내렸다. 이는 국내산 공급이 안정적인 데다 수입 물량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김장 비용을 지역별로 보면 세종이 45만6,680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고 강원이 38만5,760원으로 가장 낮았다.

 

 

이번 조사에는 정부의 할인 지원은 반영하지 않았다. 정부는 앞서 김장철 소비자 부담 경감을 위해 농산물 가격을 최대 40% 낮추고 수산물 가격은 최대 50% 할인하는 행사를 지원하는 한편 김장 재료 공급을 늘리겠다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물가협회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대책이 김장 물가 안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는 앞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물가협회는 최근 배춧값이 안정세를 보여, 앞으로 김장비용은 더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김장 주재료인 배추 가격은 2주 전과 비교해 20% 내렸다.

 

김기일 물가협회 생활물가팀 과장은 “배추 가격이 여전히 높지만 가을배추 출하 확대로 김장철 수급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김장 성수기인 다음 달 중순 이후로는 부담이 다소 경감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