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기후경제


정부, 전국 단위 540MW급 ESS사업 착수한다

전북·전남·강원·경북·제주 지역서 시행

 

정부가 540MW 대규모 ESS 입찰을 공고하면서, 전국 단위 ESS 사업이 본격 시작을 알렸다. 이는 2023년 제주에서 진행한 입찰 규모 65MW보다 8배 이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육지 500MW, 제주 40MW 규모의 ESS입찰을 공고했다.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잉여전력을 저장한 뒤 수요가 높은 시간에 방전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제어를 줄일 수 있다.

 

이날 전력거래소가 발표한 입찰 공고에 따르면 육지 사업 참여자의 경우, 한국전력이 계통운영상 필요하다고 판단한 전북·전남·강원·경북 등 특정 변전소로 한정한다.

 

정부는 지난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해 ESS 도입 규모를 반영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ESS는 제주에서 육지까지 적용 지역을 확장한다. 또한 ESS 잉여전력 충전 가능 시간도 하루 4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어나 실제 설치 용량은 육지 3000MWh, 제주 240MWh에 육박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업에 수천억원에서 1조원대 투자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입찰 참여는 다음달 2일부터 가능하며 전력거래소는 최종 낙찰자를 오는 7월 중 선정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머나먼 언론개혁..."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독립의 최소장치"
각계 각층에서 언론개혁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이정헌 의원이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에 대한 조속한 추가 입법에 나서기로 했다. 두 의원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 2세미나실에서 '방송 3 법 그 이후 : 보도 독립·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방송 3법 개정으로 공영방송의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가 법제화됐지만, 민영 · 지역방송은 적용 대상에서 빠지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분과장을 비롯한 정책 전문가, 현업 언론인, 시민사회, 학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공영방송에 국한된 임명동의제의 한계를 짚고, 민영·지역방송으로의 확대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훈기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7일 국회 과방위를 통과한 방송 3법 개정안은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위한 진일보했지만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적용 대상은 KBS, MBC, EBS, YTN, 연합뉴스 TV, 5개 방송사로 한정됐다”며, “종편사의 뉴스 시청률이 이제는 국민들에게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상당한 만큼 공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