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금리 인하 압박에도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
이로써 연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개최된 다섯 번의 FOMC에서 5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한미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2.0% 포인트(p)를 유지했다.
이날 연준은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에 대해 "최근 지표들은 상반기에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둔화했음을 시사한다"며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노동시장은 견조하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아,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미국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기 대비 연율 3%)은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민간 기업과 소비자 수요는 둔화 흐름과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의 물가 상승 압박에 대한 우려 등을 감안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한편, 연준은 이번 FOMC에서 위원 12명 중 제롬 파월 의장을 포함해 9명이 금리 동결에 찬성했고, 미셸 보먼(연준 부의장)·크리스토퍼 월러(연준 이사) 위원은 0.25% 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동결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위원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동안 국채 이자 부담 경감과 경제 활성화를 기대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잇따른 금리 동결에 강한 불만을 표출해왔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는 파월 의장의 거취 문제까지 거론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해왔다. 지난 6월 FOMC의 경우 위원들이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을 결정했지만 이번에는 반대표가 나온 이유이기도 하다.
연준 이사 2명이 이례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압박에 힘을 실은 상황에서 오는 9월 중순에 열릴 차기 FOMC에서는 관세의 물가 상승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한 기준금리가 작년 12월 이후 9개월만에 인하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파월 의장은 이날 FOMC 결과 관련 기자회견에서 "저와 대부분 위원은 제한적인 통화정책이 부적절하게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보지 않으며 완만하게 제한적인 정책이 적절하다고 본다"며, "우리는 9월 회의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으며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우리가 얻는 모든 정보를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의원은 "표면적으로는 매파적이었지만, 세부 내용들을 보면 관세발 인플레이션이 단발성으로 끝나는 것을 베이스로 한 시나리오로, 고용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염두했다고 볼 수 있다"며, "파월 의장은 물가와 고용 리스크가 균형에 가까워지면 금리를 중립 수준까지 내릴 수 있다고 밝힌 바가 있어, 고용 데이터가 악화될 경우 금리 인하 명분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기업들의 구인 수요가 줄어들고 네이티브 실업 자들이 이민자 퇴출로 인한 빈 일자리를 채우지 않아 구조적 실업이 생긴다면 실업률은 점 차 높아질 것이고, 9월부터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