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새 악성코드 ‘플래그’, 리눅스 잠입 공격...백신 탐지도 불가

PAM, 리눅스·유닉스 기반 시스템 내 앱 및 서비스 인증정책 관리 라이브러리 모음
독일 보안기업 넥스트론 시스템즈 발견...PAM 무결성 검사 등 신속 조치 취해야

 

악성 PAM 모듈로 제작되어 정체를 숨긴 ‘플래그(Plague)’라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발견돼 비상이 걸렸다. 보안 블로그 시큐리티 어페어즈(Security affairs)는 이달 2일 독일 보안기업인 넥스트론 시스템즈(Nextron Systems) 연구원들이 이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발견된 플래그 악성코드는 앞서 1년 넘게 여러 종류의 변종이 구글 자회사 바이러스토탈(VirusTotal)에 등록됐지만, 그 어떤 안티바이러스 엔진도 이를 ‘악성’으로 인지하지 못했다.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이란 리눅스 및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책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모음이다.


넥스트론 시스템즈(Nextron Systems) 연구원 피에르 앙리 페지어(Pierre-Henri Pezier)는 “이 백도어 악성코드는 악성 PAM으로 제작되어 공격자가 시스템 인증을 은밀하게 우회하고 지속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보안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SSH(Secure Shell)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PAM 모듈은 권한이 부여된 인증 프로세스에 로드되는 만큼 악성 PAM은 사용자 자격 증명을 도용하고 인증 검사를 우회하며 보안 도구에 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지난해 7월 29일 이후 바이러스토탈에는 여러 개의 플래그 아티팩트가 올라왔지만, 이곳에 등록된 여러 안티멀웨어 엔진에서는 악성으로 탐지된 적이 없었다.


피에르 앙리 연구원은 이 페스트 악성코드가 대표적으로 네 가지 악성 기능이 있다고 분석했다. 첫 번째는 ‘안티버그’로 분석 및 역설계를 방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문자열 난독화’로 민감한 문자열과 오프셋을 보호해 안티바이러스 탐지를 복잡하게 만든다. 세 번째 ‘정적 자격증명’으로 공격자에게 추적 없이 은밀하게 접근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숨겨진 세션 아티팩트’로 공격 활동의 흔적을 삭제한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번 신형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PAM 무결성 검사, 인증 모니터링 강화, 행위 기반 보안 강화 등을 염두에 두고 보안 태세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