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제4회 파인리즈배 국제캐디골프대회 성황리에 개최

방송인 허참 씨의 진행으로 풍성한 캐디의 날 장식



골프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캐디들에게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제4회 파인리즈배 국제캐디골프대회’가 강원도 고성군 파인리즈골프장에서 10일 개최됐다.

지난해 3개국이 참여했던 국제캐디골프대회는 올해 베트남이 합류함으로서 한국, 태국, 중국, 베트남 4개국에서 100여 명의 실력파 캐디들이 참가해 명실상부한 국제대회로 자리 잡았다.

친선부와 시합부와 나눠서 진행된 이번 대회에서 각국을 대표한 캐디들은 각자의 기량을 마음껏 펼치며 열띤 경쟁을 하였다. 친선부는 신페리오 방식, 시합부는 스트로크 방식으로 진행됐다.

시합부 우승은 
김창용(72타/소속)씨에게 돌아갔다. 3회 연속 우승을 노렸던 정소연(75타/파인리즈소속)씨는 이번 대회에서 준우승에 머무는 아쉬움을 남겼다. 두 선수에게는 트로피와 함께 각각 200만원, 10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김재봉 파인리즈 회장은 “올해로 제4회를 맞이한 국제캐디골프대회가 캐디문화의 변화를 꿈꾸는 파인리즈의 꿈을 조금이나마 실현되게 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캐디들이 골퍼들의 단순한 도우미가 아니라 전문인으로 자부심을 느끼고 스스로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재봉 회장은 2006년부터 캐디티칭프로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캐디들의 처우개선에 힘써오고 있다. 또 캐디들이 자신이 하는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여 더 나은 미래를 열어가도록 배려하고 있다.

 태국 EGA 대표인 쏨삭 (Mr.Somsak) 람차방 국제 컨트리 클럽 회장은 축사를 통해 “파인리즈 리조트 김재봉 회장의 선진화된 골프문화와 한국 사회에서의 캐디의 직업에 관한 중요성에 대해 깊이 감명 받았다”며 “이로 인해 태국은 관광청과 지방자치단체, 싱코퍼레이션 등 민,관의 더욱 커진 지원과 관심을 받아 2013년 어메이징 타일랜드 캐디 챔피언십을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 姜博文(짱붜원) 문등천복골프장 부사장은 “한국에서 제일 먼저 티칭프로 제도를 골프장에 도입하는 것에 성공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차별화된 경영방식을 중요시하고 인재교육 양성을 중요시하며 적극적으로 변화를 추구한 티칭프로 시스템을 도입하여 중국의 골프문화수준의 업그레이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인 허참 씨의 진행으로 이어진 시상식의 말미는 각 나라 캐디들이 전통의상을 입고 나와 전통 춤을 주는 등 문화행사로 이어지면서 더욱 풍성한 잔치가 됐다.

이번 대회는 우리은행, 맥콜, 볼빅, IBK캐피탈, ELBON 등이 함께 했다. 
제4회 파인리즈배 국제캐디골프대회는 SBS골프 채널에서 10월 9일 저녁 8시 30분 방송될 예정이다.

 김소영 기자 /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중동 전운·한반도 핵안보 위기까지…'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2' 발간
한국핵안보전략포럼이 오는 20일 총서 제2권 『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2: 국제사회 설득과 초당적 협력』을 발간한다. 지난 1권이 한국 자체 핵무장의 당위성과 추진 전략을 다뤘다면, 이번 2권은 국제사회와 국내 정치권을 설득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책은 최근 한 달 새 벌어진 국제 안보 현안을 서두에서 짚으며 문제의식을 던진다. 이스라엘-이란 충돌과 극초음속 미사일의 방공망 돌파,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번복, 북한의 전술핵 사용 가상 시나리오와 주한미군 감축 논의 등 일련의 사건을 통해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과 방위 의지를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노병렬 대진대 교수는 핵무장 시 예상되는 경제제재 강도가 과장됐다고 분석했고, 이창위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핵비확산조약(NPT) 탈퇴 대신 ‘이행정지’ 방안을 제안해 제재 회피 가능성을 논의했다. 심규상 미국 텍사스대 교수는 해외 전문가 담론을 분석해 설득 대상과 연대 대상을 구분했다.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 김흥규 아주대 교수, 딜런 모틴, 리소테츠 류코쿠대 교수 등이 미국·중국·일본·러시아·유럽 국가 설득 전략을 제시했다. 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