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0일 수요일

메뉴

경제


지난 지방선거 후, 고용률 ‘충남’ 가장 많이 올라

건설수주 ‘전북’, 물가 '부산'

통계청이 지난 지방선거 이후 4년간 지역경제 변화 추이를 알 수 있는 자료를 내놨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05회 지방선거에서 4년간 물가 및 고용 등 경제지표를 비교 분석한 결과 광역자치단체 중 고용률이 가장 높게 오른 지역은 충남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2010년부터 지난 1분기까지 취업자가 123천명(12.6% 증가) 늘어나 가장 높은 고용률 증가세를 보였다.

 

제주(11.0%), 인천(8.8%) 광주(8.7%), 경기(6.4%), 대전(5.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강원은 지난 1분기 취업자가 보궐선거로 현 도지사 취임 이후인 2011년 대비 4.7% 줄었다.

 

전남이 1.1%, 경남이 0.1%씩 각각 현 지자체장 취임 이후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부진한 추세를 보였다.

 

또 지난 4년간 건설경기가 눈에 띄게 회복된 곳은 전북과 대구였다.

 

전북은 2011년의 경우 전년 대비 건설수주액이 57.9% 늘었고 이듬해는 -8.7%로 주춤했다가 2013년에 다시 전년 대비 22.3% 늘어난 수주액을 기록했으며 대구도 2011118.6%나 수주가 늘었다.

 

반면 충남은 지난해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42.5%나 줄었고 울산도 지난해만 39.2% 감소했으며 경남은 현 지사 취임 이듬해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31.0% 줄어들었다.

 

강원(-29.5%), 충북(-23.9) 등도 지난해 건설수주가 줄었다.

 

서울은 현 시장 취임 이듬해인 2012년 수주가 31.1% 줄었고, 지난해는 7.4% 늘어나며 소폭 회복했다.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부산과 대구로 나타났다.

 

부산의 올 1분기 물가지표는 109.80으로 2010년을 기준(100)으로 봤을 때 9.8% 올랐다.

 

두 번째로 많이 물가가 오른 대구는 같은 기간 물가가 9.7% 상승했다.

 

반면 가장 물가가 적게 오른 곳은 인천으로 같은 기간 7.8% 상승에 그쳤다.

 

한편 현 단체장들이 취임한 이후 인구가 꾸준히 순유입된 지자체는 인천, 경기, 제주, 충남, 충북, 강원, 울산, 대전 등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문신사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 “‘문신사법’ 복지위 소위 상정 환영”
대한문신사중앙회는 20일 “문신사 법안은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대 국회부터 발의했으며,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거쳐 영업환경 및 자격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연구용역까지 완료된 상태”라며 “국회가 더 이상 논의를 미루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사)대한문신사중앙회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소위에 ‘문신사법’이 상정된 것을 환영하며, 해당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고, 문신사를 전문직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생활권을 보호하는 법안이다. 임보란 대한문신사중앙회회장은 이날 국회 앞 기자회견에서 “지난 12년간 문신사 제도화를 위해 쉼 없이 싸워왔다”며 “중앙회는 네 차례에 걸친 집단 헌법소원 제기, 국회 앞 릴레이 시위, 4차례의 대규모 집회 그리고 대법원 판례 변경을 위한 법률 대응까지 이어오며 문신사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이번에 상정된 법률안이 소위를 통과한다면 문신사가 전문직으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이어 “문신산업 종사자 대부분이 영세

배너